Loading...
1일간 안보이기 닫기
모바일페이지 바로가기 > 로그인  |  ID / PW찾기  |  회원가입  |  소셜로그인 
스토리야 로고
작품명 작가명
이미지로보기 한줄로보기
 1  2  3  4  5  6  7  8  9  10  >  >>
 1  2  3  4  5  6  7  8  9  10  >  >>
 
자유연재 > 일반/역사
노미
작가 : 정진교
작품등록일 : 2020.9.23

1919년에 태어나신 나의 할머니 오노미와 남편 정진화 그리고 그 동생들 윤화, 남화, 석이, 민화, 태화, 정화 이야기.

그때 노미는 열아홉 아리따운 소녀였고, 남편 정화와 여섯 도련님들은 스물두 살부터 열다섯 살 사이의 근동에 소문난 꽃같은 소년들이었다. 그렇게 노미의 꽃길같은 시집살이는 정말 꽃길만 같을 줄 알았다. 그러나 병으로 일찍 돌아가신 시어머니 대신 여섯도련님들의 어린 어머니 노릇을 하며 한명 한명 제짝을 찾아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시대는 일제강점기. 아프고 어두운 시절이었다.

목숨보다 소중한 것들과 소중한 사람들을 어이없이 빼앗기고, 또 잃어야 했던 시절이었다.
노미의 가족들은 서로를 지켜내기 위해 매일 매 순간 이를 악물고 버텨야 했고, 어떻게든 살아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시절 누구보다 찬란했고, 아름다웠고, 사랑스러웠으며, 아팠지만 따듯했고, 슬펐지만 행복했다.

공출, 가뭄, 강제징용, 그리고 빼앗긴 소녀들... 아파서 부끄러워서 또 몰라서
아무도 하려하지 않았지만 누군가 해야하는 이야기이기에 감히 시작해보려 한다.

저는 작가 정진교입니다. 지금부터 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제47화 돌아오지 않는 소년들
작성일 : 20-09-29 06:55     조회 : 28     추천 : 0     분량 : 5951
뷰어설정 열기
뷰어 기본값으로 현재 설정 저장 (로그인시에만 가능)
글자체
글자크기
배경색
글자색
맑은고딕 나눔고딕 돋움 굴림 궁서 바탕
13 15 17 19 21

 제47화 돌아오지 않는 소년들

 

 

 다음 날 아침, 노미는 집으로 돌아갈 준비를 했다. 할아버지와 그 밤으로 달려오신 친정 부모님까지 노미를 말렸다. 도련님들도 말렸다. 하지만 도대체 왜 그런 고집이 났는지 노미는 집에 가고 싶었다. 이제나저제나 며느리랑 아들들 돌아오기만을 기다리고 계실 시아버지 때문이기도 했지만, 노미에게는 이제 그 곳이 집이었기 때문이었다. 아무리 잘해주셔도, 아무리 편하게 해주셔도 노미는 좀처럼 할아버지 집이 편하지 않았다. 어머니에게는 일단 집에 가서 시아버지를 뵙고, 손주를 보여드리고 나서 친정으로 돌아와 몸조리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렇게 해서 노미는 할아버지가 싸주시는 한약을 잔뜩 선물로 받아 아버지가 빌려 오신 큰 자동차를 타고 세 도련님들을 태우고 집으로 향했다.

 

 준이가 열 살 어린 조카를 품에 안고 한참이나 놓치 않으려 했다. 오랜만에 만난 세 도련님들과 준이의 이별도 쉽지는 않았다. 어쩌다 우리는 가족이 되어 이렇게 서로 못 보고, 헤어지고 하는 것이 이토록 힘들고 눈물겨운 것이 되었을까. 우는 준이를 세 도련님들이 돌아가며 달래고, 안타깝지만 딸의 선택이 옳다고 생각하신 아버지, 어머니에게 마지막으로 손주를 한 번씩 안겨드리고, 노미는 차에 올랐다. 차를 타고 오는 내내 세 도련님들은 서로 장난치고 떠들었다. 그 소리가 노미는 어떤 노래보다, 어떤 음악보다 듣기 좋았다.

 

 

 멀리 고향마을의 모습이 보이자 태화와 민화는 감정이 복받쳤다. 다시는 보지 못할 수도 있었다.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수도 있었다. 그 시절, 수많은 조선의 소년들이 그렇게 자기 고향에서 끌려갔다. 그리고 그렇게 끌려간 소년들은 대부분 돌아오지 못했다.

 

 차에서 내려 집으로 걷는 그 길에는 아직 눈이 쌓여 있었다. 형수가 주저앉아 버선을 흔들며 울던 그 고갯마루를 지날 때는 민화도 태화도 눈시울이 붉어졌다. 세 사람은 아직 걸음이 힘든 형수를 부축하며 그렇게 천천히 집으로 향했다. 집이 보이자 정화가 먼저 뛰어 들어갔다.

 

 “아버지!”

 

 막내 목소리에 아버지가 마당으로 튀어나오셨다. 불편한 무릎을 절룩거리면서도 아버지는 막내를 와락 부둥켜안으셨다.

 

 “태화는? 민화는?”

 

 아버지의 목소리는 혹시나 해 가늘게 떨렸다. 정화는 환하게 웃었다.

 

 “아버지, 놀라지 마이소. 식구가 늘었어예.”

 

 아버지는 눈이 휘둥그레지셨다. 그때 마당으로 태화, 민화와 함께 노미가 아기를 안고 들어섰다. 아버지는 주춤주춤 아들들을 향해 다가가셨다. 태화와 민화가 아버지 품에 안겼다. 세 사람 눈에 눈물이 비처럼 흘렀다. 그리고 아버지는 이제 노미에게 다가가셨다. 그리고 품에 안은 아기를 보셨다. 그동안의 그 모진 마음고생이 눈 녹듯이 사라지는 순간이었다.

 

 “아버지, 아들입니더.”

 

 하고 노미가 울먹이며 말했다. 노미는 아기를 아버지 품에 안겨드렸다. 아버지는 소리도 내지 못하고 우셨다. 세상에 이보다 더 좋고 기쁜 날이 또 있을까 싶었다. 그때였다.

 

 “내 이럴 줄 알았당께.”

 

 하는 익숙한 목소리가 들렸다. 태화 민화 정화가 반사적으로 소리 난 쪽을 보았다.

 

 “형!!”

 

 세 사람은 석이를 향해 뛰어갔다. 그렇게 네 도련님들이 다시 한 덩어리가 되었다. 석이는 동생들 얼굴을 일일이 어루만져 주었다. 눈이 안 보이게 환하게 웃는 석이 얼굴에 눈물이 줄줄 흘렀다. 노미의 반가움도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석이가 다시 웃고 있었다. 반가움에 얼굴이 눈물로 범벅이 되어 있기는 했지만, 금쪽같은 세 동생들을 얼싸안고 석이는 그렇게 다시 예전처럼 환하게 웃고 있었다. 돌아온 그 웃음이 너무 고마워 노미는 또 하염없이 눈물이 흘렀다.

 

 “형수님!”

 

 하며 석이가 다가왔다. 석이는 아기를 보았다. 그리고 품에 안았다. 감격에 겨워 말을 잇지 못했다.

 

 “날 달이 다 되었응께, 엄니가 이제 가보자 해서 왔어라. 근디 벌써 나와부렀네요잉.”

 

 하며 웃었다. 노미도 따라 웃었다. 석이가 웃으면 노미는 웃을 수밖에 없었다. 그 웃음이 다시 돌아와서 노미는 한없이 한없이 기뻤다.

 

 며칠 후 성재도 자기 집으로 돌아왔다. 어린 아내는 성재가 돌아온 것은 기쁜데 결핵이라는 말에 목을 놓아 울었다. 성재는 결핵은 잘 먹으면 낫는 병이니 걱정 말라고 아내를 달랬다. 그리고 서류상 '결핵'이라는 말을 아주 나중에 해주었다.

 

 

 

  편지를 다 읽은 진화는 손이 벌벌 떨렸다. 남화도 마찬가지였다. 진화는 지금 남화가 일하는 병원의 곁방에 와 있었다. 지난 겨울 부스럼을 앓아 얼굴 여기저기가 희끗희끗하고 수염도 머리도 덥수룩하고 입은 옷은 남루하기 그지없었다. 세상에서 둘째가라면 섭섭할 정도로 잘생긴 큰형이 거지꼴을 하고 있으니 남화는 마음이 아프다 못해 쓰렸다. 평생 글을 읽고 가르치던 선비가 지금은 온종일 뼈가 부서지게 일하는 농사 노동자가 되어 있었다.

 

 남화가 하도 성화를 해서 진화는 방금 부스럼 주사를 맞았다. 주사를 맞는 것에 거부감이 있던 진화는 그래서 지금 영 기분이 좋지 않았다.

 

 “형님, 축하드립니더. 아버지가 되셨습니더.”

 

 하고 남화가 태어난 조카 소식에 기쁨을 감추지 못하며 진화를 축하해 주었다. 그러나 축하받는 사람 표정이 좋지만은 않다. 진화는 새삼 자신이 너무 멀리 와 있다는 것을 실감했다.

 

 “길에서 아를 낳았단다. 막내들이 아를 받았단다. 내 기가 막히가....”

 

 진화는 눈시울이 붉어졌다. 그러나 울지조차 못했다. 진화는 자기 머리를 벽에 박으며 눈물을 삼켰다. 머리가 부서지게 벽에 머리를 박았는데도 아프지를 않았다. 첫 아이였다. 첫아들이었다. 진화는 자신이 이처럼 초라하게 느껴진 적이 없었다. 아내에게 미안하고 또 미안했다.

 

 “한번 다녀오셔야 하지 않겠는교?”

 

 하고 남화가 어렵게 말을 해본다. 그러나 진화의 표정은 더 처참해질 뿐이다.

 

 “어찌 가노? 가믄 몬 오지 싶다.”

 

 남화는 자기 때문에 형이 만주까지 와서 이 고생을 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고 죄책감이 들었다.

 

 “지 때문에.... 지 때문에 형이....”

 

 하며 고개를 푹 숙이는 남화 눈에 어쩔 수 없이 눈물이 맺혔다. 진화는 그런 남화를 엄하게 그러나 다정하게 꾸짖었다.

 

 “니 때문이 아이다. 그런 생각 잠시도 하지 마라. 니 때문이 아니라, 니 덕분에 만주 올 용기가 났다. 이번에는 복권이 덕분에, 또 그 일본 친구 덕분에 고맙게도 고비를 넘깄다만, 앞으로 우예 될지 아무도 모른다. 지금 조선은, 고향은 너무 위험하다. 한 해만, 딱 해만 더 해보자. 그래도 안 되믄.... 러시아로 갈까 한다.”

 

 “러시아요?”

 

 남화는 깜짝 놀랐다.

 

 “요즘 다들 그리로 넘어간다. 어렵기는 해도 거기라면 거기서 자리만 잡을 수 있으믄, 일본놈들 등살에서 벗어날 수 있다.”

 

 남화는 기가 막혔다. 말리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그러자고 할 수도 없었다. 진화는 남화에게 얼마 전 있었던 웃지 못할 이야기를 하나 해주었다.

 

 

 진화는 움막에서 끙끙 앓고 있었다. 온몸에 부스럼이 나서 여기저기 피고름이 맺혀 있었다. 얼굴에는 여기저기 피딱지가 엉겨 붙어 있고, 머리도 수염도 덥수룩했다. 서너 평도 안 되는 작은 움막 안에는 여기저기 피고름 묻은 천이랑 솜이 굴러다니고, 움막 안은 뜸치료를 하느라 피워놓은 쑥 연기로 자욱했다. 그때 누군가 움막 안으로 뛰어 들어왔다.

 

 “도와주십시오! 일본군에게 쫓기고 있습니다.”

 

 입은 옷을 보니 광복군이었다. 머리가 덥수룩하고 수염도 덥수룩했으나 아직은 앳된 얼굴의 청년이었다.

 

 “광복군입니까?”

 

 하고 진화가 깜짝 놀라 묻자 청년은

 

 “조선분이시군요. 도와주십시오.”

 

 하며 반가워했다. 진화는 얼른 그를 자기 앞에 앉히고 곁에 있던 이발 도구로 머리와 수염을 싹 깍았다. 그리고 깎은 머리털과 수염은 화로에 던져 태우고, 그가 입고 온 옷은 가마니 밑에 깔아 숨기고는 아래위로 홀딱 벗은 몸에 여기저기 자기 피고름 묻은 천을 문질렀다. 얼굴이랑 머리에는 아예 피 묻은 솜을 붙였다. 그렇게 큰 병 든 사람처럼 꾸미고는 자리에 눕히고 이불을 뒤집어쓰게 했다.

 

 그때, 움막을 덮은 천을 젖히며 일본군 둘이 총을 들고 들어왔다.

 

 “ここに逃げ込んだやつ、見かけなかったか”

 (코코니 니게콘다 야츠 미카케나캇타카)

 ‘여기 도망쳐 들어온 놈 못 봤나?’

 

 

 하며 한 일본군이 진화 코앞에 총을 겨누며 소리쳤다. 진화는 일본말을 잘 못 하는 척 더듬거리며,

 

 “助けてください!  助けてください!”

 (타츠케테 쿠다사이! 타츠케테 쿠다사이!)

 ‘살려 주세요! 살려 주세요!’

 

 “私と弟と腸チフスにかかりました.”

 (와타시토 오토~토토 초오치후스니 카카리마시타!)

  ‘저랑 동생이랑 장질부사에 걸렸습니다.’

 

 “注射! ちょっと注射してください!”

 (추~샤! 초토 추~샤시테 쿠다사이!)

 ‘주사! 주사 좀 놔주세요!’

 

 

 하며 그 일본군을 향해 팔을 휘저으며 주춤주춤 다가갔다. 얼굴 여기저기에 피딱지가 앉아있고, 눈은 쾡한 사나이가 마치 허깨비처럼 팔을 허우적거리며 다가오니 그 일본군들은 깜짝 놀랐다.

 

 

 “腸チフスだ!”

 (초오치후스다!)

 ‘장티푸스다!’

 

 

 하며 한 일본군은 손으로 입을 틀어막고는 튀어 나가 버렸다. 장질부사, 즉 장티푸스는 당시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간 무서운 전염병이었다. 머리가 빠지고 온몸에 피고름이 생겼다. 누가 봐도 진화와 누운 동생이라는 자는 장티푸스에 걸린 환자로 보였다.

 

 “どうか助けてください!”

 (도오카 타스케테쿠다사이!)

 ‘제발 살려 주세요!’

 

 “ちょっと注射してください!”

 (초토 추~샤시테 쿠다사이!)

 ‘주사 좀 놔주세요!’

 

 하며 진화가 눈을 희번덕거리며 다가오자, 결국 그 일본군도 고함을 치며 움막을 뛰쳐나가 버렸다. 그렇게 두 일본군이 멀리 사라진 것을 확인하고 나서 진화는 빙긋 웃었다. 그리고 누워있는 광복군 청년에게 다가갔다. 아까 허깨비처럼 허우적거리던 그 사람이 맞나 싶을 만큼 단정하고 온화한 표정의 진화를 보며 그 청년은 사뭇 감동했다. 진화는 숨겨두었던 청년의 옷을 꺼내주었다. 옷을 입고 반듯하게 앉아있는 청년 또한 이목구비가 수려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목숨을 구했습니다. 이 은혜를 어찌 갚습니까?”

 

 하며 청년은 진화에게 큰절을 했다. 진화가 절하는 것을 말렸지만, 청년은 듣지 않았다.

 

 “목숨을 걸고 나라를 위해 싸우는 광복군 아니십니까. 저는 그저 내 목숨이나 연명하자고 농사짓는 농사꾼에 불과합니다.”

 

 볼수록 범상치 않은 인품이 느껴지는 진화에게 청년은 큰 감동을 받았다.

 

 “저는 최가 성우라 하옵니다. 존함이 어찌 되시는지요?”

 

 하고 청년이 맑은 눈으로 진화에게 물었다.

 

 “정가 진화라 하오. 반갑소.”

 

 그렇게 두 사람은 밤새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청년은 곧 러시아로 넘어갈 것이라고 했다. 많은 광복군들이 그쪽으로 옮겨가는 중이라고 했다. 진화는 그렇게 러시아로 가는 꿈을, 희망을 품게 되었다.

 

 

 

 이 이야기를 다 들은 남화는 진화의 기지에 감탄했다.

 

 “형, 어찌 그 순간, 그런 생각을 하셨습니꺼?”

 

 하며 남화는 혀를 내둘렀다.

 

 “그러게 말이다. 그 친구를 보니 꼭 너랑 석이 보는 것 같고, 우리 민화같고, 태화같고, 정화같고 그랬다....”

 

 하는데 진화가 그 다음 말을 잇지 못했다. 남화는 진화가 누구 생각이 나서 저러는지 알기에 큰형이 다음 말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자기도 겨우 눈물을 참으며 기다렸다.

 

 “그래.... 우리 윤화같더라. 참 잘생겼더라. 우리 동생들만 잘난 줄 알았는데 눈코입 어디 버릴 데가 없이 잘생긴 친구더라. 최가라 했던가? 나중에 인연이 되면 다시 만나보고 싶다.”

 

 그랬다. 그때 우리 소년들은 그렇게 싸웠다. 그렇게 살았다. 광복군으로, 농부로, 학생으로, 징용노동자로, 또 일본군에 끌려가 징병 군인으로 그 시절을 살아야 했다.

 

 

 할머니에게서 전해 들은 이 이야기에서 나는 우리 할아버지한테 한 번 더 반했던 것 같다. 그리고 러시아로 간 우리 광복군 할아버지들은 또 어떻게 사셨을까 궁금했다. 그러다 우연히 TV에서 ‘빅토르 최’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았다. 고려인 아버지와 우크라이나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한국계 러시아 롹가수였다. 그는 그곳에서 음악으로, 아름다움으로 한 시대를 홀렸다. 짧은 생을 살았지만, 누구보다 아름다운 삶을 살았다.

 

 나는 그에게서 할아버지가 구해주셨다는 그 광복군 청년의 얼굴을 보는 듯했다. 그들의 아들들은 또 그 아들들은 살아서, 살아남아서 먼 이국의 땅에서 세상을 향해 노래하고 있었다. 자기 삶이 다 하는 날까지 그는 노래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작가의 말
 

 형들의 소식이 궁금하셨던 분들은 오늘 반가우셨나요? 석이가 돌아왔습니다.^^ 진화도 남화도 고생하고 있기는 하지만 무사히 잘 지내고 있습니다. 윤화는.... 조금 더 기다려 주세요. 하루 빨리 형제들이 다 모여 함께 살게 되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네요. 그때까지 응원해주세요.

 그리고 고향에 돌아올 수 없었던 소년들도 기억해 주세요.

 
 

NO 제목 날짜 조회 추천 글자
54 제53화 아침밥 2020 / 9 / 29 71 0 7967   
53 제52화 돌잔치 2020 / 9 / 29 37 0 5020   
52 제51화 고등어 무조림 2020 / 9 / 29 32 0 5281   
51 제50화 단술 2020 / 9 / 29 29 0 4840   
50 제49화 집으로 2020 / 9 / 29 31 0 7221   
49 제48화 오지 않는 봄 2020 / 9 / 29 31 0 3310   
48 제47화 돌아오지 않는 소년들 2020 / 9 / 29 29 0 5951   
47 제46화 태어난다는 것 2020 / 9 / 29 26 0 4019   
46 제45화 죽는다는 것 2020 / 9 / 29 34 0 4687   
45 제44화 은비녀 2020 / 9 / 29 31 0 6195   
44 제43화 국민증 2020 / 9 / 29 26 0 5865   
43 제42화 스미마센! 2020 / 9 / 29 31 0 6164   
42 제41화 부산 2020 / 9 / 29 29 0 6166   
41 제40화 버선 2020 / 9 / 29 30 0 5025   
40 제39화 겨울 2020 / 9 / 29 31 0 6020   
39 제38화 편지 2020 / 9 / 29 38 0 5883   
38 제37화 친구 2020 / 9 / 29 33 0 6917   
37 제36화 호박전과 달래 2020 / 9 / 29 35 0 6994   
36 제35화 하늘 2020 / 9 / 29 31 0 6867   
35 제34화 날다 2020 / 9 / 29 33 0 7862   
34 제33화 나비-2 2020 / 9 / 29 33 0 6909   
33 제32화 나비-1 2020 / 9 / 29 32 0 6116   
32 제31화 봉숭아꽃 2020 / 9 / 29 33 0 5576   
31 제30화 남겨진 사람들 2020 / 9 / 29 31 0 6036   
30 제29화 만주 2020 / 9 / 29 31 0 5446   
29 제28화 일곱 개의 옥 가락지 2020 / 9 / 29 34 0 4170   
28 제27화 아기 2020 / 9 / 29 35 0 5231   
27 제26화 첫눈 2020 / 9 / 29 31 0 5292   
26 제25화 배추전 2020 / 9 / 29 31 0 6751   
25 제24화 돌아오지 않는 소녀들 2020 / 9 / 29 34 0 6243   
 1  2  3  
이 작가의 다른 연재 작품
등록된 다른 작품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신고/의견    
※ 스토리야에 등록된 모든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본사이트는 구글 크롬 / 익스플로러 10이상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주)스토리야 | 대표이사: 성인규 | 사업자번호: 304-87-00261 | 대표전화 : 02-2615-0406 | FAX : 02-2615-0066
주소 : 서울 구로구 부일로 1길 26-13 (온수동) 2F
Copyright 2016. (사)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