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1일간 안보이기 닫기
모바일페이지 바로가기 > 로그인  |  ID / PW찾기  |  회원가입  |  소셜로그인 
스토리야 로고
작품명 작가명
이미지로보기 한줄로보기
 1  2  3  4  5  6  7  8  9  10  >  >>
 1  2  3  4  5  6  7  8  9  10  >  >>
 
자유연재 > 일반/역사
노미
작가 : 정진교
작품등록일 : 2020.9.23

1919년에 태어나신 나의 할머니 오노미와 남편 정진화 그리고 그 동생들 윤화, 남화, 석이, 민화, 태화, 정화 이야기.

그때 노미는 열아홉 아리따운 소녀였고, 남편 정화와 여섯 도련님들은 스물두 살부터 열다섯 살 사이의 근동에 소문난 꽃같은 소년들이었다. 그렇게 노미의 꽃길같은 시집살이는 정말 꽃길만 같을 줄 알았다. 그러나 병으로 일찍 돌아가신 시어머니 대신 여섯도련님들의 어린 어머니 노릇을 하며 한명 한명 제짝을 찾아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시대는 일제강점기. 아프고 어두운 시절이었다.

목숨보다 소중한 것들과 소중한 사람들을 어이없이 빼앗기고, 또 잃어야 했던 시절이었다.
노미의 가족들은 서로를 지켜내기 위해 매일 매 순간 이를 악물고 버텨야 했고, 어떻게든 살아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시절 누구보다 찬란했고, 아름다웠고, 사랑스러웠으며, 아팠지만 따듯했고, 슬펐지만 행복했다.

공출, 가뭄, 강제징용, 그리고 빼앗긴 소녀들... 아파서 부끄러워서 또 몰라서
아무도 하려하지 않았지만 누군가 해야하는 이야기이기에 감히 시작해보려 한다.

저는 작가 정진교입니다. 지금부터 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제38화 편지
작성일 : 20-09-29 06:42     조회 : 37     추천 : 0     분량 : 5883
뷰어설정 열기
뷰어 기본값으로 현재 설정 저장 (로그인시에만 가능)
글자체
글자크기
배경색
글자색
맑은고딕 나눔고딕 돋움 굴림 궁서 바탕
13 15 17 19 21

 제38화 편지

 

 

 남화에게서 편지가 왔다.

 

 ‘형수님, 고향은 가을걷이가 끝났겠습니다. 가뭄이 심하다 들었습니다. 공출은 또 어찌 지나갔는지요. 혹시라도 몸이 상한 사람은 없는지 걱정됩니다. 윤화 형님에게서는 아직도 소식이 없습니까. 석이는 건강이 회복되었습니까. 어지러운 일들만 여쭈어 죄송합니다.

 

 이곳도 가을걷이가 끝났습니다. 첫해라 그런지 큰형님이 그렇게 고생하셨는데도 소출이 거의 없었습니다. 한해만 더 해보자 하시는데 글을 읽으시던 선비가 농사일에만 매달려 계시니 곁에서 뵙기에 민망하기 그지없습니다. 형님께서는 형수님 뵈올 날만 기다리며 사십니다.

 

 저는 이곳 병원 원장님의 은혜를 입어 공부도 하고 일도 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하나뿐인 아드님을 얼마 전 결핵으로 잃으셨다고 합니다. 저를 아들처럼 대해 주십니다. 저에게 의대에 가보지 않겠느냐고 권하셔서 저는 집안 형편이 안 된다 말씀드렸더니 지원해주시겠다고 하십니다. 감히 꿈도 꾸지 못했던 일이라 무어라 말씀을 드리지 못했습니다. 진화 형님은 좋은 기회이니 놓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만 형수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아버지께도 여쭈어주십시오.

 

 아, 그리고 얼마 전 이곳에서 좋은 형님을 한 분 만났습니다. 연희전문대에 다니고 계신 분인데 저에게는 지금 제가 다니는 학교 선배님이시기도 합니다. 그 형님께서도 저에게 의대에 다니라고 권해주셨습니다. 자신은 문학에 뜻이 있어 영문과에 갔지만 저에게는 꼭 의사가 되어 사람들에게 보탬이 되는 일을 하라 하셨습니다. 저는 의술만이 사람에게 보탬이 되는 일이 아닙니다. 글을 쓰는 일, 시를 쓰는 일 또한 사람에게 보탬이 되는 일이라 말씀드렸습니다. 그 형님은 시를 쓰십니다. 참으로 아름다운 시를 쓰십니다. 제가 형수님께 한글을 배웠다고 자랑하니 형님께서도 형수님을 칭찬하시며 형수님을 뵙고 싶어 하셨습니다. 여기 그분이 쓰신 시 한 구절을 보내드립니다.

 

 <자화상>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어가선

 

 가만히 들여다 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 윤동주, [자화상 ](1939. 9.)

 

 

 이 시를 진화 형님께도 보여드렸는데 꼭 자기 얘기 같다고 하셨습니다. 진화 형님 마음 또한 이러하신 듯합니다. 제 마음 또한 이러해서 동주 형님께 말씀드렸더니 ‘우리 모두 다 참 가엾구나.’ 하셨습니다.’

 

 

 이번에는 진화에게서는 편지가 오지 않았다. 항상 남화와 함께 보내곤 했는데 농사를 망치고는 마음이 많이 상한 모양이었다.

 

 ‘가엾은 사람....’

 

 하고 노미는 편지를 가슴에 안고는 가만히 한숨을 쉬었다. 파아란 바람이 부는 가을이라 했다. ‘바람을 파아랗다고 하다니, 참으로 아름다운 말이구나.’ 하며 노미는 감탄했다.

 

 노미는 그분의 시를 더 많이 읽어보고 싶다고 답장을 했다. 남화의 소식을 들으신 아버지는 잘된 일이니 남화가 하고자 하는 대로 하라고 하셨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아버지는 마음이 쓸쓸하기도 하셨다. 집안 형편이 넉넉하여 아들이 하고 싶은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으면 좋을 텐데 다른 이의 도움으로 공부를 하게 하는 것이 한편으로는 아들을 뺏기는 것 같은 기분이 드시기도 한 것이다.

 

 그런 마음은 진화도 마찬가지여서 남화의 일을 축하해 주면서도 어쩔 수 없이 섭섭한 기분 또한 들었을 것이다. 노미는 이런 사정을 남화에게 솔직히 이야기했다. 그래도 다시 올 수 없는 소중한 기회이니 고향의 아버지께 효도하는 길도, 그리고 그곳에서 도움을 주시는 아버지 같은 원장님의 은혜에 보답하는 길도 모두 열심히 공부하여 훌륭한 의사가 되는 것이라고 편지에 썼다. 그 가을, 바람은 참으로 파아랗게 불었다.

 

 

 노미는 편지를 부치러 읍내에 나왔다. 참 오랜만에 읍내에 나오는 것이었다. 기름공장인지 어딘지 끌려갈 뻔한 이후로 노미는 장에 나오는 것조차 조심스러웠다. 노미는 우체국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만주로 편지를 부쳤다. 안쪽 책상에 복권이 앉아있는 것이 보였지만 애써 눈을 피하며 들키지 않게 서둘러 자기 일만 하고는 얼른 나올 생각이었다. 하지만 복권은 노미를 보았다. 그렇다고 보는 이가 많은 곳에서 이름을 부르며 아는 체를 할 수는 없었다. 복권은 슬쩍 뒷문으로 나갔다.

 

 노미는 편지를 무사히 부치고는 복권이에게 안 들켰구나 하고 안심하며 막 우체국 건물을 돌아 나오려는데 모퉁이에 복권이 서 있다가 노미를 막아섰다. 깜짝 놀란 노미가 복권을 바라보았다.

 

 “잘 있었나?”

 

 노미는 애써 대충 머리만 끄덕거리며

 

 “예, 오라버니도 안녕하신교?”

 

 하고는 지나가려는데

 

 “요 앞에 찻집에 잠깐 가자. 할 얘기도 있고.”

 

 했다. 노미는 당황스럽기 그지없었다. 세상 좁은 동네에서 남녀가 유별한데 벌건 대낮에, 그것도 결혼한 남녀가 찻집에 마주 앉아있다는 게 가당키나 한 일인가. 노미는 도대체 이 사람이 제정신인가 싶었다.

 

 “어째, 오늘은 달고 다니는 혹들이 없노?”

 

 하는데 그때 복권이 뒤에서 두 혹이 쓱 얼굴을 내밀었다.

 

 “혹들 여기 있는데예.”

 

 하며 태화가 복권이 옆에 자기 얼굴을 대고는 이죽거렸다. 민화도 복권이를 옆눈으로 보며

 

 “찻집에는 뭐할라꼬예?”

 

 한다. 그러자 혹이 하나 더 얼굴을 내민다.

 

 “이 눔아가 그 놈이가?”

 

 한다. 정화다.

 

 “찻집 말고, 국밥집 가믄 안돼나?”

 

 

 

 그래서 모두 국밥집에 모였다. 도련님들은 모두 국밥을 한 그릇씩 차지하고 앉았다. 열심히 먹는 정화와 달리 태화와 민화는 뜨는 둥 마는 둥 한다. 한 놈은 눈을 있는 대로 치뜨고 노려보고, 한 놈은 실눈을 뜨고 째려본다. 복권은 난처하면서도 동생들이 좀 귀엽기도 하고 반갑기도 하다.

 

 “다케짱한테 대충 얘기 들었다. 소를 뺏길 뻔했다믄서?”

 

 하고 복권이 노미에게 물었다.

 

 “예, 어찌됐든 고맙다고 전해주이소.”

 

 “다케가 니 본다고 일부러 간기다. 갸는 니를 별나게 아낀다 아이가. 내보고도 니 잘 돌봐주고 있으라고 신신당부를 하더라. 아무려면 일본놈인 지보다 내가 니를 더 몬하게 대하겠나?”

 

 노미는 뭐 고맙다고 해야 하는데 맞는 것 같기는 한데 왜 이 두 오라버니들이 서로 자기를 아껴주겠다고 하는지 도무지 이해가 잘 안 가고 있었다. 친오빠들도 아니고, 어릴 때 이후로는 얼굴 못 보고 지내는지 사오 년은 족히 되는데 말이다. 뭐 그런 얘기를 할까 말까 망설이고 있는데 태화가 팔짱을 탁 꼬고 앉아서 복권을 향해 턱을 쳐들고 말했다.

 

 “와 두 분이 서로 우리 형수님을 돌봐 줄라 하는교? 우리 형수님은 우리가 돌봐드리고 있으니 걱정 안 하시는 게 맞는 거 같은데예?”

 

 한다. 그러나 복권이도 만만치 않다.

 

 “소를 뺏길 뻔했다 아이가? 그 반장 놈이 이번에는 다케 때문에 어떻게 넘어간 모양인데 어지간한 악질이 아이다. 이번 참에 니들 다 징용에 못 가도록 서류를 만들어 놔야 한다.”

 

 노미는 예상치 못한 복권의 말에 깜짝 놀라 복권을 바라보았다. 복권이 노미를 급히 불러 보자고 한 이유가 이것이었던 모양이다.

 

 “진화가 만주 가믄서 내한테 부탁한 것도 있고, 내가 이래저래 막아놓기는 했는데 요즘 일본 돌아가는 게 심상치가 않다. 윤화는...”

 

 하면서 복권은 동생들의 표정을 살폈다. 다들 표정이 아까와 다르다.

 

 “윤화는 어떻게 내가 해 볼 도리가 없었다. 지가 알아서 그 밤으로 징용 가는 트럭을 탔던 모양이라.”

 

 윤화 이야기가 나오자 동생들 표정은 더욱 처참하다.

 

 “아직 소식 없나?”

 

 복권은 진심으로 걱정되어 물었다. 노미는 가만히 고개를 흔들었다. 복권은 숨길 수 없는 깊은 한숨을 쉬었다.

 

 “진화는, 진화는 언제 온다고 하드나?”

 

 그러자 민화가 아까와는 사뭇 다른 공손한 목소리로 대답했다.

 

 “큰형님은 한 해 더 농사를 지어본다고 하시는데 실은 기약이 없습니더.”

 

 복권은 답답한 표정을 숨기지 않았다.

 

 “니들이 징용에 안 가려면 농사계로 분류가 되어야 한다. 일본에서는 조선 사람들을 나눌 때 군대 가는 군무원인지, 일하는 노무자인지, 그리고 농사짓는 농사계인지로 나눈다. 지금은 니들이 농사계로 분류가 되어 있지만. 그것이 언제든 지들 맘대로 뒤집어지는 거라 윗대가리들 한테 뇌물도 먹이고, 줄도 대고 하지 않으면 내일 우찌 될지 모르는 게 조선사람 운명이다.”

 

 노미는 복권을 새삼스럽게 바라보았다. 친일파 아버지 밑에서 호의호식하며 맘 편하게 사는 사람인 줄 알았다. 진화가 가끔 만나러 간다고 할 때도 그저 서방님이 맘이 좋아서 싫은데도 대충 어울려 지내는 친구인 줄 알았다. 이런 사람인 줄 미처 몰랐던 것이다. 어느새 동생들은 두 손을 공손하게 모으고 복권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그럼, 우야믄 됩니꺼?”

 

 하고 노미가 물었다. 복권은 ‘이제야 나를 봐주나?’ 하는 표정으로 노미를 짐짓 째려보았다.

 

 “나이들이 아직 어리니 당장 무슨 일이 있지는 않을 것 같은데, 앞으로 무슨 일이 있으믄 일단 내한테 와가 가능한 빨리 손을 써야 한다. 알았나?”

 

 복권의 표정은 사뭇 비장했다. 동생들도 이제는 복권을 전처럼 바라보지 않았다. 복권은 ‘국 다 식었다. 어서 먹어라.’ 하며 동생들을 살뜰하게 챙겨주었다. 노미가 국밥을 먹는 것까지 보고 나서야 복권은 마음을 놓았다. 하지만 복권도 장담할 수 없었다. 자기 말대로 세상이 정신없이 변하고 있었다. 아무도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세상이었다. 아무도 안심할 수 없는 시절이었다.

 

 

 일본의 중일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일본은 물자와 병력이 부족하게 되었다. 그 보충은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이 감당해야 했고, 그것을 조선이 순순히 따를 리가 없었다. 일본은 ‘국가총동원법’이라는 것을 만들어 조선을 물샐틈없이 통제하고 관리하고자 했다. 당연히 그것은 강제와 폭력이 수반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일본은 외부적으로는 조선이 협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싶어했다. 수많은 조선의 유력인사들, 문인들, 학자들, 종교단체까지 그 일에 협조하고 나섰다. 그리고 ‘친일파’라 불리던 그들은 제 나라 백성을 일본에 갖다 바치고, 일반 백성들의 물자를 감자 한 톨까지 끌어다주는 역할을 했다. 해야 했다.

 

 

 할머니의 기억 속에 복권이는 안타까운 사람이다. 그 마음이나 속이 어떠했을지 환하게 알 수는 없지만 복권이는 친일파의 아들로 살아야 했던 자기 삶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사람들을 지켜주고 있었고, 진화를 노미를 아껴주었다.

 

 “할머니, 복권이 할아버지하고도 혼담이 있으셨다면서요. 우리 할아버지가 잘생겼어요? 복권이 할아버지가 잘생겼어요?”

 

 하고 어느 날 내가 할머니께 물었다. 나는 왜 그렇게 어떻게 생겼는지에 관심이 많았나 모르겠다.

 

 “생기기야 복권이가 잘생깄지. 키도 훤칠하고, 눈도 크고, 입성도 좋고.”

 

 “진짜요? 우리 할아버지보다 복권이 할아버지가 더 잘생겼다고요?”

 

 “느그 할아버지는.... 잘생깄다기 보다는 사람이 참했지.... 그라고, 느그 할아버지는 우예됐든 바루게 하는 사람이었다. 뭐든지 쪼매 느리더라도 바루게 옳게 해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이였다. 일도 늘 그래하고, 생각도 늘 그래해가 바루지 않게 사는거, 바루지 않게 생각하는 거를 참 싫어했다. 그래가 복권이는 내보다는 느그 할아버지를 더 좋아라했다 아이가. 그래 느그 할아부지랑 내도록 어불려댕길라카고 그랬다. 그래가 내가 둘이 애인이가? 그랬다아이가.”

 

 하며 할머니는 혼자 큭큭 웃으셨다.

 

 “어려븐 시절이었는데도 그래 챙기줄라했다. 어릴 때는 복권이가 밸로 맘에 안들어가... 성품이 좀 거칠다 싶어가 밸로 안 좋아라 했는데, 낭중에 봉께 사람이 속이 깊고 그랬다.”

 

 그 시절을 살았던 여러 모습의 우리 할아버지들, 애처롭고 안타깝다. 그렇게 지켜내신 이 나라를 우리가 앞으로 더 잘 지켜낼 수 있을까. 그래야 할텐데 말이다.

 

 

 

 

 
 

NO 제목 날짜 조회 추천 글자
54 제53화 아침밥 2020 / 9 / 29 71 0 7967   
53 제52화 돌잔치 2020 / 9 / 29 37 0 5020   
52 제51화 고등어 무조림 2020 / 9 / 29 32 0 5281   
51 제50화 단술 2020 / 9 / 29 29 0 4840   
50 제49화 집으로 2020 / 9 / 29 31 0 7221   
49 제48화 오지 않는 봄 2020 / 9 / 29 31 0 3310   
48 제47화 돌아오지 않는 소년들 2020 / 9 / 29 28 0 5951   
47 제46화 태어난다는 것 2020 / 9 / 29 25 0 4019   
46 제45화 죽는다는 것 2020 / 9 / 29 34 0 4687   
45 제44화 은비녀 2020 / 9 / 29 30 0 6195   
44 제43화 국민증 2020 / 9 / 29 26 0 5865   
43 제42화 스미마센! 2020 / 9 / 29 31 0 6164   
42 제41화 부산 2020 / 9 / 29 29 0 6166   
41 제40화 버선 2020 / 9 / 29 30 0 5025   
40 제39화 겨울 2020 / 9 / 29 31 0 6020   
39 제38화 편지 2020 / 9 / 29 38 0 5883   
38 제37화 친구 2020 / 9 / 29 33 0 6917   
37 제36화 호박전과 달래 2020 / 9 / 29 35 0 6994   
36 제35화 하늘 2020 / 9 / 29 31 0 6867   
35 제34화 날다 2020 / 9 / 29 33 0 7862   
34 제33화 나비-2 2020 / 9 / 29 33 0 6909   
33 제32화 나비-1 2020 / 9 / 29 32 0 6116   
32 제31화 봉숭아꽃 2020 / 9 / 29 33 0 5576   
31 제30화 남겨진 사람들 2020 / 9 / 29 31 0 6036   
30 제29화 만주 2020 / 9 / 29 31 0 5446   
29 제28화 일곱 개의 옥 가락지 2020 / 9 / 29 34 0 4170   
28 제27화 아기 2020 / 9 / 29 35 0 5231   
27 제26화 첫눈 2020 / 9 / 29 31 0 5292   
26 제25화 배추전 2020 / 9 / 29 31 0 6751   
25 제24화 돌아오지 않는 소녀들 2020 / 9 / 29 34 0 6243   
 1  2  3  
이 작가의 다른 연재 작품
등록된 다른 작품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신고/의견    
※ 스토리야에 등록된 모든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본사이트는 구글 크롬 / 익스플로러 10이상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주)스토리야 | 대표이사: 성인규 | 사업자번호: 304-87-00261 | 대표전화 : 02-2615-0406 | FAX : 02-2615-0066
주소 : 서울 구로구 부일로 1길 26-13 (온수동) 2F
Copyright 2016. (사)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