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1일간 안보이기 닫기
모바일페이지 바로가기 > 로그인  |  ID / PW찾기  |  회원가입  |  소셜로그인 
스토리야 로고
작품명 작가명
이미지로보기 한줄로보기
 1  2  3  4  5  6  7  8  9  10  >  >>
 1  2  3  4  5  6  7  8  9  10  >  >>
 
자유연재 > 일반/역사
노미
작가 : 정진교
작품등록일 : 2020.9.23

1919년에 태어나신 나의 할머니 오노미와 남편 정진화 그리고 그 동생들 윤화, 남화, 석이, 민화, 태화, 정화 이야기.

그때 노미는 열아홉 아리따운 소녀였고, 남편 정화와 여섯 도련님들은 스물두 살부터 열다섯 살 사이의 근동에 소문난 꽃같은 소년들이었다. 그렇게 노미의 꽃길같은 시집살이는 정말 꽃길만 같을 줄 알았다. 그러나 병으로 일찍 돌아가신 시어머니 대신 여섯도련님들의 어린 어머니 노릇을 하며 한명 한명 제짝을 찾아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시대는 일제강점기. 아프고 어두운 시절이었다.

목숨보다 소중한 것들과 소중한 사람들을 어이없이 빼앗기고, 또 잃어야 했던 시절이었다.
노미의 가족들은 서로를 지켜내기 위해 매일 매 순간 이를 악물고 버텨야 했고, 어떻게든 살아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시절 누구보다 찬란했고, 아름다웠고, 사랑스러웠으며, 아팠지만 따듯했고, 슬펐지만 행복했다.

공출, 가뭄, 강제징용, 그리고 빼앗긴 소녀들... 아파서 부끄러워서 또 몰라서
아무도 하려하지 않았지만 누군가 해야하는 이야기이기에 감히 시작해보려 한다.

저는 작가 정진교입니다. 지금부터 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제39화 겨울
작성일 : 20-09-29 06:43     조회 : 30     추천 : 0     분량 : 6020
뷰어설정 열기
뷰어 기본값으로 현재 설정 저장 (로그인시에만 가능)
글자체
글자크기
배경색
글자색
맑은고딕 나눔고딕 돋움 굴림 궁서 바탕
13 15 17 19 21

 제39화 겨울

 

 

 하늘에서 눈이 내리고 있었다. 까만 하늘에서 까만 땅으로 하얀 눈이 내리고 있었다. 작은 눈꽃 하나가 나풀나풀 내려와 새까만 볼 위에 앉았다. 그 눈꽃은 금새 눈물이 되어 까만 볼 위를 흘러내렸다. 윤화는 자기 새끼손톱을 바라보았다. 새카만 석탄재가 끼어있는 손톱 끝에 주홍빛 봉숭아 꽃물이 남아있었다. 첫눈이 올 때까지 봉숭아 꽃물이 남아있으면 첫사랑이 이루어진다고 했던가.

 

 “와 안 드십니꺼?”

 

 곁에 앉은 덩치 큰 녀석이 윤화에게 말했다. 역시 윤화만큼이나 새까만 석탄가루를 뒤집어쓰고 있는 이 녀석은 부산 출신으로 몸이 아픈 자기 아버지 대신 징용을 왔다고 했다. 겨우 열여섯, 막내 정화랑 동갑이었다.

 

 “니 묵을래?”

 

 하며 윤화가 자기 주먹밥을 녀석에게 권했다. 녀석은 고개를 세차게 저으며 도로 윤화 앞으로 주먹밥을 밀었다.

 

 “맛없어도 드시소. 안 드시믄 안됩니더.”

 

 윤화는 할 수 없이 주먹밥을 입에 넣고 씹었다. 녀석은 주먹밥이 두 입에 끝났다. 윤화는 녀석을 볼 때마다 정화 생각이 났다.

 

  “니한테는 양이 적을낀데.”

 

 “괘안습니더. 글찮아도 젤로 큰 놈으로다 집었습니더.”

 

 하며 눈이 반달이 되게 웃는다. 웃을 때는 또 민화를 닮았다. 그리고는 끌끌끌 웃는데 웃는 목소리는 또 태화를 닮았다.

 

 “건이라 했나?”

 

 “야, 강의건입니더.”

 

 “그래, 내는...”

 

 “정윤화, 윤화형님이시지예?”

 

 의건이는 뭐가 좋은지 또 헤벌죽 웃는다. 까만 얼굴 때문에 이빨이 더 하얗다. 어느새 눈이 하얗게 쌓여 까만 마당을 덮었다.

 

 ‘오라버니!’

 

 저 눈밭을 미순이가 달려왔었다. 볼은 사과처럼 빨개져서, 입에서는 하얀 김이 나면서, 털 달린 겨울 저고리에, 머리 싸개를 하고, 손에는 장갑도 끼었었다. 그렇게 눈이 나풀거리던 그 날, 미순이는 나풀거리는 눈꽃 사이로 눈꽃처럼 나풀나풀 날아왔었다. 윤화는 꿈속에서 미순이에게 달려가 와락 안아주었다. 내리는 눈 속에서 미순이를 안고 빙글빙글 돌아주었다. 미순이는 아기처럼 좋아서 ‘까르르’ 웃었다. 윤화도 미순이처럼 웃었다. 꿈속에서 윤화는 미순이를 그렇게 와락 안고서 웃고 또 웃었다.

 

 점심시간이 끝나는 걸 알리는 종소리가 세차게 울렸다. 얼핏 졸던 건이가 서둘러 일어나 윤화를 일으켜 세웠다. 자기도 안전모를 쓰고 오늘따라 더 멍한 윤화의 안전모도 씌어주더니 윤화를 붙잡고 서둘러 막장 안으로 끌고 갔다. 늦으면 또 무슨 봉변을 당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윤화는 마당에 하얗게 쌓인 눈을 한 번 더 돌아보았다. 그리고 두 사람은 시커먼 막장 안으로 사라졌다.

 

 

 

 고향에도 눈이 오고 있었다. 이제는 배가 부를 대로 부른 노미가 부지런히 겨울 옷을 짓고 있었다. 태화는 눈이 내리는 것을 멍하니 바라보며 마루 끝에 앉아 있었다. 막 솜바지 하나를 완성한 노미가 태화를 불렀다.

 

 “도련님, 고뿔듭니더. 안으로 들어오이소.”

 

 “형은... 춥겠지예?”

 

 노미는 어떤 형을 말하는 것인지 몰랐지만 누구를 말하는 것인지 차마 물을 수 없었다.

 

 “도련님, 들어오이소. 참말로, 버선도 안 신고, 맨발로 뭐합니꺼. 퍼뜩 들어오이소. 이 바지 맞는지 맞춰봐야 합니더.”

 

 태화는 할 수 없이 노미 앞으로 왔다. 노미는 막 지은 솜바지를 태화에게 대어본다. 얼추 맞는 것 같다.

 

 “지금 입어볼랍니꺼?”

 

 하는데 태화는 오늘따라 기분이 영 심드렁한 모양이다.

 

 “됐스예. 나중에 입을께예.”

 

 그런 태화가 노미는 한없이 안쓰럽다. 어떻게든 기분을 풀어주고 싶은데 딱히 좋은 생각이 안 난다. 그때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 온 정화가 찬바람을 휘 하고 몰면서 방으로 뛰어 들어왔다.

 

 “아이고, 추버라!”

 

 하며 태화를 뒤에서 끌어안고 몸을 녹인다. 평소 같으면 좋다고 웃던지, 귀찮다고 화를 내던지 할텐데 태화는 정화가 자기를 안고 흔들거나 말거나 반응이 없다. 정화도 그런 태화가 이상하다.

 

 “와, 뭔 일 있나?”

 

 “아이다. 그냥... 니는 벌써 오나?”

 

 “산에 나무가 없다. 그래도 내 며칠 동안 부지런히 다녀가 광 한쪽 벽은 다 채워놨다.”

 

 “그래, 욕봤다.”

 

 하며 태화는 다시 멍을 때린다. 정화가 노미에게 눈으로만 ‘무슨 일인데예?’ 하고 묻는데 노미도 눈으로만 ‘모르겠습니더.’ 했다.

 

 “민화는, 민화는 어딨노?”

 

 하고 정화가 묻자, 그제야 태화가 눈을 부라리며 정화를 때린다.

 

 “형! 형! 민화가 모꼬? 니 틈만 나면 형 빼먹고 반말한데이!”

 

 정화는 맞으면서도 다시 살아난 태화가 반갑다.

 

 “와? 니도 민화한테 형이라 안 하잖아.”

 

 태화는 눈이 더 커졌다.

 

 “니? 지금 니 니라 했나?”

 

 태화는 정화를 바닥에다 눕히고 손에 잡히는 버선으로 막 때렸다. 노미가 태화 신으라고 꺼내놓은 것이었다.

 

 “고마하이소, 고마하이소.”

 

 하며 노미가 대충 말렸다. 뭐 저러다 말걸 알기 때문에 그다지 열심히 말리지는 않았다. 노미도 정화 덕분에 태화가 살아난 것이 반가웠다.

 

 “밥 묵자!”

 

 하며 민화가 밥상을 들고 들어왔다. 오늘 점심은 민화가 한 모양이었다.

 

 “아부지는예?”

 

 하고 노미가 일어서려 하자, 민화가

 

 “죽 드신다 해가 방금 드렸습니더.”

 

 했다. 그렇게 세 도련님과 노미는 한 상에 둘러앉았다.

 

 온갖 곡식이 다 섞인 시커먼 밥이었지만 그래도 모두 한 그릇 수북이 담겨있었다. 반찬은 희끄무리한 김장김치가 다였다.

 

 “윤화 형이 새 김치 좋아하는데.”

 

 하고 정화가 말했다.

 

 “윤화 형만 새 김치 좋아하나, 남화 형도 큰형도 다 좋아하지.”

 

 하고 태화가 말했다.

 

 “석이형 어무이 해주신 갓김치 먹고잡다.”

 

 하고 민화가 말했다.

 

 “내는 깍두기.”

 

 하고 정화가 말했다.

 

 “내는 파김치.”

 

 하고 태화가 말했다.

 

 “굴 들어간 겉절이.”

 

 하고 민화가 말했다.

 

 “그거는 미순이가 좋아하는 긴데.”

 

 하고 정화가 말했다. 다같이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노미는 울음을 꿀떡 삼켰다.

 

 “자, 어서 드시소. 야?”

 

 하며 노미는 도련님들을 달래 밥을 계속 먹였다. 다들 꿀떡꿀떡 겨우 밥을 넘기고 있었다.

 

 “여기다 수육 한 점만 딱 싸가 먹었으면 원이 없겠다.”

 

 하고 태화가 말했다.

 

 “밥이라도 이래 수북이 먹는게 어데고?”

 

 하고 민화가 말했다.

 

 “한 점 말고, 진짜 배가 터지게 괴기 좀 먹어봤음 원이 없겠다.”

 

 하고 정화가 말했다. 다들 서로 눈만 쳐다보았다.

 

 그때였다. 집 앞으로 동네 사람 하나가 소리를 치며 달려갔다.

 

 “놈들이요! 놈들이 또 차 끌고 옵니더!”

 

 노미는 순간 머리가 하얗게 되었다. 아랫동네에 젊은 장정들이랑 아직 어린 소년들까지 갑자기 들이닥친 군인들이 끌고 갔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었다. 밑도 끝도 없이 갑자기 영장이 나왔다며 끌고 갔다고 했다.

 

 밥을 먹다 말고 노미는 도련님들을 서둘러 메주방으로 데리고 갔다. 바닥에 덮어놓은 가마니를 치우고 나무 덮개를 열어 그 안에 세 사람을 모두 집어넣었다. 망설일 틈이 없었다. 덮개를 닫으며 말간 눈으로 노미를 바라보는 여섯 개의 눈동자를 마지막으로 노미는 나무 덮개를 덮고 가마니를 위에 깔았다.

 

 노미는 얼른 방으로 돌아와 먹던 밥을 솥에 도로 쏟았다. 밥 먹은 그릇이랑 수저는 아궁이 속에 쑤셔 넣었다. 그리고는 다시 방으로 와서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바느질을 했다. 심장이 벌렁거리고 이마에는 땀이 송글송글 맺혔다.

 

 

 드디어, 전에 달래를 잡아가려 했던 그 반장이란 자와 총을 든 일본 군인들이 마당으로 들어섰다.

 

 “여 남자들 다 나오이소!”

 

 반장은 늘 하던 일을 한다는 듯 피곤이 가득한 목소리로 말했다. 안방에 계시던 아버지가 기침을 쿨럭쿨럭하며 겨우 나오셨다. 누가 봐도 병색이 짙은 모습이라 안쓰러울 만도 한데 반장은 아버지를 아래위로 꼬나보며 못마땅한 표정을 숨기지 않았다.

 

 “여기 아들들 다 어디 갔습니꺼? 다 나오라 하이소. 영장 나왔습니더. 징용 영장!”

 

 “징용이라니? 둘째는 이미 징용에 자원해 갔소.”

 

 아버지는 노기를 애써 숨기며 반장에게 맞섰다. 반장은 들고 온 장부를 대충 훑어보며

 

 “첫째랑 셋째는?”

 

 “큰애랑 셋째는 만주에 갔다 하지 않았소. 거기서 농사짓고 있소.”

 

 반장은 입맛을 쩍 다시더니,

 

 “아랫놈들은 어딨소? 넷째부터 여섯째까지 싹 다 영장이 나왔으니 다 나오라 하시오.”

 

 했다. 아버지는 더는 분을 이기지 못하고 소리쳤다.

 

 “영장이라니! 이제 겨우 열일곱, 열여섯이요. 징용은 열여덟부터 가는 것 아니요?”

 

 그러자 반장이 빽하고 고함을 쳤다.

 

 “이 늙은이가 뭔 소리 하노? 대일본제국의 군대가 대동아전쟁으로 피같은 목숨을 내놓고 성전을 치르고 있는 이때 나이가 무슨 상관인교? 최전방에 나가 총칼을 들고 싸우진 못할망정 대일본제국의 산업역군으로 선택된 것을 그나마 자랑스럽게 생각하시오!”

 

 아버지는 기가 막혀 말을 잇지 못했다. 그때 부른 배를 안고 노미가 마당으로 나왔다.

 

 “넷째 다섯째 도련님들은 여기 없습니더. 다섯째 도련님은 간질입니더. 간질환자가 어떻게 징용에 갑니꺼. 의원에서 받은 진단서도 있습니더.”

 

 하며 의원이 써준 진단서를 반장에게 건네주었다. 반장은 노미가 건넨 종이를 휙 낚아채 훑어보더니 노미가 보는 눈앞에서 찢어버렸다.

 

 “동네 의원이 써준 진단서는 소용없소. 부산에 가가 군의관이 검사할 것이오. 그러니 어서 나오라 하시오.”

 

 노미는 순간 입술을 깨물었다. 그러나 물러서지 않았다.

 

 “지금 집에 없다 안했습니꺼. 아파가 경주 큰 의원에 병구안하러 갔습니더. 쌍둥이 도련님 둘 다 아파가 같이 가고 여기 없습니더. 막내 도련님도 부산 친척집에 공부하러 가고 여기 없습니더.”

 

 노미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이렇게 말했다. 노미가 하도 흔들림 없이 당차게 말을 하니 메주방 밑에 숨어서 작은 숨구멍으로 밖을 바라보던 세 도련님들은 정말로 자기들이 여기 없는 것만 같았다. 반장은 그런 노미를 잠시 아니꼬운 표정으로 훑어보았다. 그러더니 손바닥으로 노미의 뺨을 세차게 후려쳤다. 노미는 그만 바닥에 쓰러졌다. 태화는 하마터면 소리를 지를 뻔했다. 태화는 손으로 자기 입을 틀어막았다. 민화는 입술을 피가 나기 직전까지 깨물었다. 정화는 이빨에서 으드득 소리가 났다. 세 도련님 눈에서 불꽃이 튀었다.

 

 노미는 맞은 뺨을 움켜쥔 채 바닥에 쓰러져 있었다. 메주방 밑에 숨어 숨구멍으로 마당의 광경을 보고 있던 정화는 눈에 피 같은 눈물이 맺히고, 온몸이 부들부들 떨렸다. 민화가 그런 정화의 어깨를 쥐었다. 민화도 쏟아지는 눈물을 겨우 참고 있었다. 태화는 지금까지 그토록 화가 난 적이 없었던 것 같았다. 피가 끓어오른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온몸으로 알 것 같았다. 아버지가 뛰어가 쓰러진 노미를 잡았다.

 

 “아가!”

 

 아버지는 반장을 향해 소리쳤다.

 

 “이놈아! 이게 무슨 짓이냐! 아기 가진 사람이다. 이 짐승만도 못한!”

 

 하는데 이번에는 반장이 아버지를 구둣발로 밀어 찼다.

 

 “아버지!!”

 

 노미가 외마디 비명을 질렀다. 메주방의 세 아들들은 ‘헉’소리가 나는 것을 겨우 참았다. 반장은 비릿하게 웃으며 눈을 치켜떴다.

 

 “이 누무 새끼들! 여 어디 숨은 거 다 안다! 당장 안 나오나!”

 

 하고 고함을 쳤다. 태화는 당장이라도 뛰쳐나가고 싶었다. 민화가 그런 태화를 와락 잡았다. 태화가 간절한 눈으로 민화를 돌아보았다. 민화는 붉어질 대로 붉어진 눈으로 안 된다고 고개를 저었다. 노미는 쓰러진 아버지를 부축하며 그 자리에 주저앉아 반장을 똑바로 쳐다보며 말했다.

 

 “여기 없다 안 했습니꺼. 여기 없습니더!”

 

 노미의 단호한 표정에 반장은 잠시 움찔하는 듯했다. 그러나 노미의 얼굴을 손으로 쥐고는 뱀 혓바닥으로 핥는 듯한 표정으로 노미의 얼굴을 아래위로 훑어내렸다.

 

 “촌구석에서 농사나 짓는 여편네 주제에 어디서 꼬박꼬박 말대답이고? 니 위에 쪼매 아는 놈들이 있어가 이래 뻔뻔스러운 모양인데, 내한테는 안 통한데이. 알았나?”

 

 하더니 허리춤에서 권총을 꺼내 공중에 대고 한 발을 쏘았다.

 

 ‘탕!’

 

 하고 천지가 부서지는 것 같은 총성이 울렸다. 그러더니 곁에 있는 일본군에게 눈짓을 했다. 그러자 그 일본군은 기다렸다는 듯 소총의 총구를 노미의 배에 대었다. 다른 일본군은 아버지를 향해 총을 겨누었다.

 

 “당장 나온나! 안 나오믄 니그들 애비고 형수고 얼라고 싹 다 죽는다!”

 

 태화 민화 정화의 눈이 불처럼 타올랐다.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뜨거운 분노였다.

 

 
 

NO 제목 날짜 조회 추천 글자
54 제53화 아침밥 2020 / 9 / 29 71 0 7967   
53 제52화 돌잔치 2020 / 9 / 29 37 0 5020   
52 제51화 고등어 무조림 2020 / 9 / 29 32 0 5281   
51 제50화 단술 2020 / 9 / 29 29 0 4840   
50 제49화 집으로 2020 / 9 / 29 31 0 7221   
49 제48화 오지 않는 봄 2020 / 9 / 29 31 0 3310   
48 제47화 돌아오지 않는 소년들 2020 / 9 / 29 28 0 5951   
47 제46화 태어난다는 것 2020 / 9 / 29 25 0 4019   
46 제45화 죽는다는 것 2020 / 9 / 29 34 0 4687   
45 제44화 은비녀 2020 / 9 / 29 30 0 6195   
44 제43화 국민증 2020 / 9 / 29 26 0 5865   
43 제42화 스미마센! 2020 / 9 / 29 31 0 6164   
42 제41화 부산 2020 / 9 / 29 29 0 6166   
41 제40화 버선 2020 / 9 / 29 30 0 5025   
40 제39화 겨울 2020 / 9 / 29 31 0 6020   
39 제38화 편지 2020 / 9 / 29 37 0 5883   
38 제37화 친구 2020 / 9 / 29 32 0 6917   
37 제36화 호박전과 달래 2020 / 9 / 29 35 0 6994   
36 제35화 하늘 2020 / 9 / 29 31 0 6867   
35 제34화 날다 2020 / 9 / 29 33 0 7862   
34 제33화 나비-2 2020 / 9 / 29 33 0 6909   
33 제32화 나비-1 2020 / 9 / 29 32 0 6116   
32 제31화 봉숭아꽃 2020 / 9 / 29 33 0 5576   
31 제30화 남겨진 사람들 2020 / 9 / 29 31 0 6036   
30 제29화 만주 2020 / 9 / 29 31 0 5446   
29 제28화 일곱 개의 옥 가락지 2020 / 9 / 29 33 0 4170   
28 제27화 아기 2020 / 9 / 29 35 0 5231   
27 제26화 첫눈 2020 / 9 / 29 31 0 5292   
26 제25화 배추전 2020 / 9 / 29 31 0 6751   
25 제24화 돌아오지 않는 소녀들 2020 / 9 / 29 34 0 6243   
 1  2  3  
이 작가의 다른 연재 작품
등록된 다른 작품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신고/의견    
※ 스토리야에 등록된 모든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본사이트는 구글 크롬 / 익스플로러 10이상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주)스토리야 | 대표이사: 성인규 | 사업자번호: 304-87-00261 | 대표전화 : 02-2615-0406 | FAX : 02-2615-0066
주소 : 서울 구로구 부일로 1길 26-13 (온수동) 2F
Copyright 2016. (사)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