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1일간 안보이기 닫기
모바일페이지 바로가기 > 로그인  |  ID / PW찾기  |  회원가입  |  소셜로그인 
스토리야 로고
작품명 작가명
이미지로보기 한줄로보기
 1  2  3  4  5  6  7  8  9  10  >  >>
 1  2  3  4  5  6  7  8  9  10  >  >>
 
자유연재 > 일반/역사
노미
작가 : 정진교
작품등록일 : 2020.9.23

1919년에 태어나신 나의 할머니 오노미와 남편 정진화 그리고 그 동생들 윤화, 남화, 석이, 민화, 태화, 정화 이야기.

그때 노미는 열아홉 아리따운 소녀였고, 남편 정화와 여섯 도련님들은 스물두 살부터 열다섯 살 사이의 근동에 소문난 꽃같은 소년들이었다. 그렇게 노미의 꽃길같은 시집살이는 정말 꽃길만 같을 줄 알았다. 그러나 병으로 일찍 돌아가신 시어머니 대신 여섯도련님들의 어린 어머니 노릇을 하며 한명 한명 제짝을 찾아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시대는 일제강점기. 아프고 어두운 시절이었다.

목숨보다 소중한 것들과 소중한 사람들을 어이없이 빼앗기고, 또 잃어야 했던 시절이었다.
노미의 가족들은 서로를 지켜내기 위해 매일 매 순간 이를 악물고 버텨야 했고, 어떻게든 살아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시절 누구보다 찬란했고, 아름다웠고, 사랑스러웠으며, 아팠지만 따듯했고, 슬펐지만 행복했다.

공출, 가뭄, 강제징용, 그리고 빼앗긴 소녀들... 아파서 부끄러워서 또 몰라서
아무도 하려하지 않았지만 누군가 해야하는 이야기이기에 감히 시작해보려 한다.

저는 작가 정진교입니다. 지금부터 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제29화 만주
작성일 : 20-09-29 06:21     조회 : 30     추천 : 0     분량 : 5446
뷰어설정 열기
뷰어 기본값으로 현재 설정 저장 (로그인시에만 가능)
글자체
글자크기
배경색
글자색
맑은고딕 나눔고딕 돋움 굴림 궁서 바탕
13 15 17 19 21

 제29화 만주

 

 어머니가 떠나신 후 도련님들도 서방님도 부쩍 말수가 없어졌다. 항상 뭐라도 장난칠 거리를 찾아 재미나게 지내던 사람들이 묵묵히 제 할 일만 했다. 하지만 그것은 어머니 때문만은 아니었다.

 

 진화는 한동안 여기저기 사람들을 만나러 다니느라 거의 집에 있는 시간이 없었다. 노미는 아기 가졌다는 이유로 온 집안 식구들이 공주마마 대하듯이 해주니 좋기도 하고 불편하기도 했다.

 

 

 

 “여보....”

 

 어느 날 저녁, 진화가 바느질감을 쥐고 있는 노미를 불렀다. 자기를 ‘여보’라고 부르는 법이 별로 없어서 노미는 무슨 일인가 했다.

 

 “와예?”

 

 진화는 잠시 말을 잇지 못하고 노미를 물끄러미 바라보기만 했다. 혼례를 치르던 첫날 밤처럼 은은하게 흔들리는 호롱불 밑에 그때만큼 고운 얼굴의 진화가 노미를 창백하고 수심이 가득한 얼굴로 바라보고 있었다.

 

 “남화 공부를 시켜야 되겠소.”

 

 하고 진화가 입을 열었다.

 

 “하모, 좋지예. 그래야지예. 잘 됐습니더.”

 

 하고 노미가 반겼다.

 

 “그래서, 남화를 만주에 보낼라 하오.”

 

 “만주에요?”

 

 노미도 만주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어 알고 있었다. 조선 사람들이 많이 어울려 살고 있고, 좋은 학교도 있고, 병원에, 교회도 있다고 했다.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 이야기도 들었다.

 

 “이번에 용국이네가 만주로 간다고 하는데, 알지요? 땅을 잡혀가 결국 은행에 빼앗겼지 않소.”

 

 노미도 듣고 안타까워했던 이야기였다.

 

 “일가가 다 가나보지예? 애들까지 족히 이십여 명은 돼지 않겠는교?”

 

 “그렇지. 그 집이 애들이 많아서…, 용국이 아버지는 벌써 건너가 터를 잡은 모양이고, 이번에 용국이 아재들이랑 식구들이 다 올라가는데…,”

 

 하고는 진화는 잠시 노미 눈을 지그시 바라보았다.

 

 “그 길에 내랑 남화랑 짐도 들어줄 겸 같이 올라갔다 올까 하오.”

 

 노미는 깜짝 놀랐다.

 

 “내 요즘 생각이 많았던 건 알지요?”

 

 하며 진화는 노미를 안타깝게 바라보았다. 노미는 벌써 가슴이 먹먹해지기 시작했다.

 

 “여 있다가는 동생들도 그렇고, 태어날 아이도 그렇고, 무슨 일을 당할지 알 수가 없소. 거기는 그래도 좀 살만하다고 하니 내 가보고 오리다.”

 

 노미는 무어라 대답을 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말릴 수도 없었다. 어쩔 수 없이 눈물이 흘렀다.

 

 

 다음 날 아침, 아침밥을 물리고 가족들이 모두 둘러앉았다. 사뭇 분위기가 무거웠다. 막내들은 영문을 몰라 어리둥절해 있고, 대충 미리 얘기를 들은 윤화와 남화의 표정은 무겁다. 애써 앉아계신 아버지 표정은 말할 수 없이 침통했다.

 

 “내 이번에 용국이네 이사 가는 길에 남화를 데리고 만주에 다녀올라 한다.”

 

 하고 진화가 입을 열었다. 갑작스러운 발표에 막내들은 눈이 휘둥그레졌다.

 

 “만주?”

 

 정화가 제일 놀란 눈치다.

 

 “거기가면 남화가 공부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일단은 알아보러 가는 거니까 오래 안 걸린다.”

 

 다들 뭐라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침묵이 흘렀다.

 

 “장손이 되가. 어무이 삼년상도 안 치르고 이래 움직이는 것이 불효 중에 불효다마는....”

 

 진화는 잠시 침통한 표정의 아버지 얼굴을 보았다.

 

 “세상이 이래 험하게 변하니 가마히 있다가는 다 죽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재산을 빼앗기는 것은 둘째 문제고, 내 니들을 어찌 지켜야 할지 방법을 모르겠다. 일단 만주에 가가 사정을 좀 보고 오기로 했다.”

 

 갑작스러운 진화의 발표에 동생들은 모두 눈만 끔뻑거릴 수밖에 없었다.

 

 “내랑 남화랑 없는 동안 윤화가 많이 힘들끼다. 내 오는 대로 윤화 혼례 치르도록 하자.”

 

 하고 진화는 윤화를 미안한 눈으로 바라보았다.

 

 “여기 걱정은 하지 말고 언능 댕겨오이소.”

 

 하고 윤화는 별일 아니라는 듯 그 특유의 무표정한 얼굴로 대답했다. 윤화는 그랬다. 울 일이 있어도, 웃을 일이 있어도, 화날 일이 있어도 늘 한결같았다. 속으로는 폭풍이 몰아쳐도 바위처럼 단단하고 흔들림이 없었다.

 

 

 용국이네 식구들은 다들 한 짐씩 짐을 이고 지고 했다. 어떻게 그 먼길을 이 많은 식구가 갈 수 있을지 알 수 없었지만, 화물차도 타고 트럭도 얻어타고 하며 간다고 했다. 말도 안 되는 여정이었다. 용국이는 훈장님들이 같이 가주신다고 하니 좋아라 한다. 용국이도 진화와 남화의 서당 제자였다.

 

 며칠 동안 진화와 남화의 짐을 챙기면서 노미는 도대체 실감이 나지 않았다. 결혼 초에 자기 집에 다니러 간다고 열흘인지 보름인지 헤어져 있었던 것 말고는 한시도 떨어져 지낸 적이 없었던 서방님이었다.

 

 ‘없이도 살았는데, 만나기 전에는 있는지도 모르던 사람인데.’

 

 하며 노미는 혼잣말을 했다. 넋이 나간 것 같았다. 아버지께 절을 하고 나오는 진화와 남화는 표정이 사뭇 비장했다. 죽으러 가는 길이 아니기에, 살러 가는 길이기에 가벼운 희망 또한 벅차올랐다. 진화는 윤화의 어깨를 감싸 쥐었다.

 

 “내 니한테 너무 많은 짐을 지우고 간다.”

 

 “됐심더. 다 내 식구들입니더. 형수님 걱정 하지 마이소. 지가 잘 돌봐드리고 있겠심더.”

 

 하며 애써 웃는다. 남화가 울먹이며 서 있는데 윤화가 끌어다 안는다.

 

 “공부 열심히 해래이. 니는 앞으로 할 일이 많다.”

 

 “예, 형님도 부디....”

 

 남화는 목이 멨다. 석이가 멀찌기 서 있다. 안 울려고 이를 악물었는데 이미 눈은 붉어졌다. 네 살 때부터 지금까지 한 번도 떨어져 지낸 적 없는 동갑 친구였다. 학교도 같이 다녔고, 같이 그만두었다. 한 사람은 봄바람 같고, 한 사람은 가을바람 같아 성격은 영 달랐지만 두 사람은 한 번도 다툰 적 없는 그냥 아무 말 안 해도 속을 다 아는 친구고 형제였다. 할아버지로부터 두 아버지로, 그리고 그 아들들인 남화와 석이로 삼대나 이어져 온 우정이었다. 석이는 단 한 번도 남화를 안 보고 지낼 일이 있으리라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남화는 가만히 석이에게 다가갔다.

 

 “석호야...”

 

 하고 남화가 석이의 이름을 불렀다. 무어라 말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석이는 남화에게 잘 다녀오라고, 공부하러 가니 좋겠다고, 간 길에 색시도 하나 얻어오라고 농담을 해줄 생각이었다. 그러나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석이는 그만 울음이 터지고 말았다.

 

 “나가 니랑... 떨어져 지내는 거는 생각도 해 본 적이 없어야.”

 

 하며 울먹였다.

 

 “어찌 될지 모른다. 나도 가봐야 안다. 그냥 올 수도 있다.”

 

 “그냥 올 거면 뭐다러 간다냐. 갔으믄 워떠커든 공부를 해야제.”

 

 남화는 말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그리고 석이를 끌어안았다. 석이는 계속 흐느껴 울었다. 남화는 곁에서 겨우 울음을 참고 있는 미순이에게 꾸벅 절을 했다.

 

 “형수님, 댕겨오겠습니더.”

 

 남화가 처음으로 미순이에게 정식으로 형수님이라고 부른 것이었다. 미순이도 터지는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오라버니, 아니 스승님. 지도 열심히 공부하고 있겄어라.”

 

 남화는 빙그레 웃었다. 둘러선 동생들을 바라보니 남화는 뭐라 할 말이 없다. 남화는 제법 의연하게 서 있는 노미에게 다가갔다. 이제 드디어 보내는가 싶어지자 노미도 참았던 눈물이 쏟아졌다.

 

 “형수님, 아니 선생님....”

 

 남화가 눈이 벌게졌다.

 

 “제가 꼭 답을 찾아오겠습니다.”

 

 노미는 그런 남화의 손을 꼭 잡아주었다. 곁에 섰던 진화가

 

 “자, 이제 가자.”

 

 하며 남화를 재촉했다. 남화가 주춤주춤 발을 옮기는데 태화가 와락 달려와 남화에게 안겼다. 민화도 정화도 와서 매달렸다. 그런 동생들 등을 두드리며 진화가 호통을 쳤다.

 

 “울지마라! 발 무거워진다. 죽으러 가나? 이래 보내면 남화도 내도 길 몬간다.”

 

 하며 단호하게 말했다. 동생들은 애써 눈물을 훔치며 남화에게서 떨어졌다. 진화는 남화와 함께 마지막으로 마루에 나와 서 계신 아버지께 절을 하고는 일어나 문을 나섰다.

 

 동생들은 그렇게 진화와 남화를 동구 밖까지 배웅하고 왔다. 하지만 노미는 그저 문 앞까지만 진화를 배웅했다. 싸리문을 나서며 진화가 노미의 손을 한번 꾹 잡아준 것이 다였다. 서운한 마음에 더 그렇게 보였겠지만 진화는 살갑게 눈조차 마주쳐주지를 않았다. 보는 눈들이 많으니 유별나게 이별식을 할 수는 없었다는 걸 잘 알면서도 노미는 내내 섭섭하고 서운했다. 그렇게 진화는 노미를 두고 만주로 떠났다.

 

 지금처럼 핸드폰이 있어 세상 어디에 있든 서로 목소리를 듣고 얼굴을 보고 할 수 있는 시절이 아니었다. 집을 나서면, 내 눈에 안 보이면, 다시 내 눈앞에 나타날 때까지 살았는지 죽었는지조차 알 수 없는 시절이었다. 그렇게 훅 떠나버리면 언제 다시 볼지 아무도 알 수 없던 시절이었다. 나를 보며 웃던 그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말없이 사라져도 그냥 그런가 보다 할 수밖에 없는 시절이었다.

 

 진화는 그렇게 뒤도 한 번 돌아보지 않고 집을 떠났다. 한 번쯤 돌아볼 만도 한데 진화는 끝내 노미를 돌아보지 않았다. 왜 안 보는지 알면서도 노미는 그것이 내내 섭섭했다.

 

 

 그날 밤, 노미는 시집오기 전 처음으로 진화와 헤어져 홀로 잠들었던 밤이 떠올랐다. 겨우 한 달 본 사람을, 말 그대로 생전 처음 보는 남자와 겨우 한 달 함께 머리를 맞대고 잠이 들었을 뿐인데, 내 옆에, 내가 자는 베개 옆에 누워있던 사람이 없자 참 형언할 수 없이 쓸쓸하고 마음이 허전했었다.

 

 가슴이 다 따끔따끔하고 아팠다. 세상에 무슨 이런 아픔이 있나 싶었다. 듣도 보도 못한 아픔이었다. 생각해 본 적도, 상상해 본 적도 없는 이상한 아픔이었다. 있던 사람이 없다는 것, 원래 없었던 사람인데, 어느 날 갑자기 내 옆에 누워 자게 된 사람, 함께 같은 베개를 베고 자게 된 사람, 어쩌다 이 수많은 별처럼 많은 사람 중에 내 옆에 눕게 되었는지, 신기하고 이상하고 알다가도 모를 인연으로 내 옆에 있게 된 사람, 그래서 세상에서 제일 예쁘고 고운 내 사람, 그 사람이 지금 내 옆에 없다.

 

 노미는 가만히 진화가 누웠던 자리에 손을 뻗어보았다. 잠결에라도 손을 뻗으면 거기 있던, 손에 잡히던 그 얼굴이 지금은 없었다. 빈 베개만 남아 있었다. 서방님 얼굴을 어루만지듯 그렇게 빈 베개를 어루만져 보았다. 차갑다. 따듯하지 않다. 노미는 속에서 커다란 덩어리 같은 것이 울컥 솟구쳐 오르는 것 같았다. 참아지지를 않았다. 당황스러웠다. 노미는 이불을 입에 꽉 물었다. 끙끙 앓는 소리가 새어 나왔다. 도대체 이게 뭔가. 이게 뭔데 이렇게 아픈가. 어떻게 그렇게 허망하게 휙 가버릴 수가 있는가. 자기 속도 속이 아니었겠지만 어떻게 그렇게 또 뒤도 안 돌아보고 휙 가버리는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 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

 

 정말로 십 리도 못가서 발병이라도 나서 다시 오시려나. 그렇게 다시 오실라나.

 

 

 할머니는 그때, 그렇게 할아버지가 휙 만주로 가버리시고 나서 혼자 잠자리에 누워있으면, 속에서 울음이 북받쳐 올라와 꺼이꺼이 하고 자꾸 소리가 나 참느라 애를 먹었다고 하셨다. 식구들도 많고 할 일이 태산 같으니 울 시간도 없고, 그리울 시간도 없었지만, 자려고 누우면 자기도 모르게 그렇게 끙끙 앓아지게 속이 아파서 가슴을 쥐어뜯고, 또 쥐어뜯고 했다고 하셨다.

 

 ‘참말로, 사람 그리븐 것만큼 아픈 게 없더라.’

 

 하고 할머니는 아프게 말씀하셨다.

 

 

 

 
작가의 말
 

 ‘참말로, 사람 그리운 것만큼 아픈 게 없더라.’ 이게 무서워서 사람을 좋아하는 일을 못 할 것 같습니다. 누군가 다시 그리워지는 일을 못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사랑을 하겠지요. 어쩔 수 없이 누군가를 또 그리워하겠지요. 그래서 우리는 다 참 불쌍합니다.

 

 

 
 

NO 제목 날짜 조회 추천 글자
54 제53화 아침밥 2020 / 9 / 29 69 0 7967   
53 제52화 돌잔치 2020 / 9 / 29 37 0 5020   
52 제51화 고등어 무조림 2020 / 9 / 29 31 0 5281   
51 제50화 단술 2020 / 9 / 29 29 0 4840   
50 제49화 집으로 2020 / 9 / 29 31 0 7221   
49 제48화 오지 않는 봄 2020 / 9 / 29 30 0 3310   
48 제47화 돌아오지 않는 소년들 2020 / 9 / 29 27 0 5951   
47 제46화 태어난다는 것 2020 / 9 / 29 25 0 4019   
46 제45화 죽는다는 것 2020 / 9 / 29 31 0 4687   
45 제44화 은비녀 2020 / 9 / 29 28 0 6195   
44 제43화 국민증 2020 / 9 / 29 24 0 5865   
43 제42화 스미마센! 2020 / 9 / 29 29 0 6164   
42 제41화 부산 2020 / 9 / 29 29 0 6166   
41 제40화 버선 2020 / 9 / 29 30 0 5025   
40 제39화 겨울 2020 / 9 / 29 30 0 6020   
39 제38화 편지 2020 / 9 / 29 37 0 5883   
38 제37화 친구 2020 / 9 / 29 32 0 6917   
37 제36화 호박전과 달래 2020 / 9 / 29 34 0 6994   
36 제35화 하늘 2020 / 9 / 29 31 0 6867   
35 제34화 날다 2020 / 9 / 29 31 0 7862   
34 제33화 나비-2 2020 / 9 / 29 33 0 6909   
33 제32화 나비-1 2020 / 9 / 29 32 0 6116   
32 제31화 봉숭아꽃 2020 / 9 / 29 32 0 5576   
31 제30화 남겨진 사람들 2020 / 9 / 29 30 0 6036   
30 제29화 만주 2020 / 9 / 29 31 0 5446   
29 제28화 일곱 개의 옥 가락지 2020 / 9 / 29 33 0 4170   
28 제27화 아기 2020 / 9 / 29 35 0 5231   
27 제26화 첫눈 2020 / 9 / 29 31 0 5292   
26 제25화 배추전 2020 / 9 / 29 31 0 6751   
25 제24화 돌아오지 않는 소녀들 2020 / 9 / 29 33 0 6243   
 1  2  3  
이 작가의 다른 연재 작품
등록된 다른 작품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신고/의견    
※ 스토리야에 등록된 모든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본사이트는 구글 크롬 / 익스플로러 10이상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주)스토리야 | 대표이사: 성인규 | 사업자번호: 304-87-00261 | 대표전화 : 02-2615-0406 | FAX : 02-2615-0066
주소 : 서울 구로구 부일로 1길 26-13 (온수동) 2F
Copyright 2016. (사)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