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정우 (3)
헐!
나 선생도 또다시 혀를 찼다.
‘무슨 놈의 땅따먹기가.’
이렇게까지 흥미진진할 수 있는 거냐! 나 선생은 소름이 쫘악! 끼쳤다. 손등에 돋아난 소름이 이를 증명했다.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일본을 꺾고 본선에 진출했을 때보다 더한 격정이 피어오른다. 이것이 바로 스포츠다, 라고 외치고 싶을 지경이다.
‘이게 뭐라고?’
생각해 보면 별거 아닌 대결인데, 정우는 집중시키는 능력을 타고났다. 나대는 경우는 한 번도 본적이 없지만, 일단 승부를 걸어오면 모두를 주목시켰다. 실로 믿기지 않는 공간 장악력이었다.
“강천아.”
정우의 부름이 강천의 귓구멍을 테러했다. 모두에게는 다정하게 들릴 달콤한 미성이나 강천에게는 악마의 속삭임처럼 들렸다. 듣기 싫었다. 이 자리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그러나 감정에 충실해봤자 유치원을 벗어나지 못한다.
“내기는 내기지.”
“……그건 안 돼!”
“아직 달라고도 안 했어, 설마 감추고 있는 건 아니겠지?”
“……아냐!”
내기의 조건은 상대방의 애장품 중 하나를 갖는 것이다.
강천은 조마조마했다. 엄마를 졸라, 간신히 산 최신형 27단 변신 나노봇이었다. 지금 한창 방영하고 있는 나노봇 워(War)의 주력 로봇이기도 했다. 모두의 인기를 한 몸에 받는 나노봇-원(One), 자랑하고 싶지만 만약을 대비해 한 번도 보여주지 않았었다. 그것만 아니면 다른 건 줘도 그만이었다.
“박스몬스터가 좋을까? 봇물상 다나와가 좋을까?”
정우는 고민을 굳이 입으로 하고 있었다. 빤히 강천을 보며 입술을 혀로 핥았다. 그럴 때마다 강천의 동공이 흔들렸다. 덩치는 산만해도 애는 애였다. 표정에 불안감이 엄습해 오고 있었다. 떼를 써도 될 상대였으면 바닥에 엉덩이를 붙이고, 나 몰라라 할 텐데. 정우에겐 통하지 않는다. 그런 식으로 했다가 고생한 애들인 한둘이 아니었다.
“잘 모르겠네.”
고개를 저으며 이리저리 눈을 돌렸다. 주변 친구들의 말에 귀 기울이고 있었다. 강천은 다소 안심했다. 유치원에 나노봇-원을 가져오지 않았었다. 아무도 모른다면 결국 선택지는 정해져 있었다. 다행히 정우도 모르는 눈치다.
“그래, 아무거나 하나 고르자.”
“아무거나 뭐?”
“나노봇-원.”
“……?”
강천은 귀를 의심했다. 도톰한 손가락으로 귀를 후벼 파고 다시 들어봤다.
“잘 못 들었는데.”
“나! 노! 봇! 원! 강천아 잘 들리니? 아니면 면봉으로 뚫어줄까?”
정우는 면봉 대신 이쑤시개를 들고 있었다. 손가락에 낀 때를 제거하는 데는 이보다 더 좋은 수단이 없다.
“어떻게?”
“우리 엄마랑 네 엄마랑 친구잖아.”
강천과 정우는 단순히 유치원 동기가 아니라, 엄마끼리도 친했다. 인천에서 자라, 인천을 벗어나지 않은 토박이로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를 같은 곳에서 나왔다. 결혼도 신혼여행을 감안해 10일의 간격을 두고 했다. 축의금을 내야 한다는 서로의 의견을 부합한 것이다. 그로 인해 아빠가 좀(많이) 고생했다고 한다.
“네가 엄마 친구 아들이라서 정말 좋다.”
엄마 친구 아들은 잘생기고, 공부 잘하고, 인기가 많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애들은 많지 않다. 현실의 엄마 친구 아들은 나보다 잘나거나, 뛰어나지 않다. 거기서 거기다. 무엇보다 강천은 나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 덩치만 컸지, 가지고 놀기 딱 좋은 호구였다.
‘반대로 생각하면 불쌍하네.’
강천에겐 정우가 엄마 친구 아들의 최고봉일 테니까.
“27단 변신은 어떻게 하는 걸까?”
27단 콤보는 들어봤어도, 27단 변신은 상상이 가지 않는다. 요즘 나오는 장난감은 어른의 판단 기준을 벗어나 있었다. 사람, 동물, 우주선 등 못하는 변신이 없다는 광고가 상기되었다. 자동변신모드가 장착되어, 간단한 변신은 버튼만으로도 가능했다. 장난감에 내구성 강한 형상기억합금까지 집어넣었다.
우물쭈물.
강천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우물쭈물했다. 몇 번 만져 보지도 못한 로봇 장난감을 넘겨주고 싶지 않았다. 잘 때 항상 품에 안고 자는 애장품이었다.
‘망설임을 없애주마.’
정우는 친절을 베풀었다. 절대 사악하지 않다고 여겼다. 이만하면 아주 정중한 태도였다. 예전이었으면 무조건 빼앗고, 개기면 그 자리에서 목을 따 주었다. 갖고 싶은 게 있으면, 주지 않고서는 못 배기게 피를 말렸었다.
그에 비해 지금은 어떤가. 압도적으로 유리한 100%의 승률을 자랑하지만 기회는 주었다.
보라, 나의 자애로움을.
게다가 친절하기까지.
“애들아, 강천이 나노봇-원을 가져오면 같이 가지고 놀자.”
아이들도 눈과 귀가 있었다.
나노봇-원이 무엇인지를 안다. 중산층이면 잘 사는 부류에 속하지만, 나노봇-원의 가격이 무려 180만원이었다. 그걸 사줄 수 있는 가정은 많지 않으며, 설령 돈이 있다고 해도 아까울 수밖에 없다. 아이들도 가질 수 있는 것과 가지지 못하는 것 정도는 구분한다. 아무리 떼를 써도 손에 넣지 못하는 것. 그럴수록 갖고 싶어 하는 것. 그것이 소수정예, 한정판의 위력이었다.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어른, 아이를 딱히 구분 짓지 않는다.
와아아아아!
아이들이 좋아서 환호성을 질렀다.
짝짝짝!
열렬한 박수가 내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애들은 역시 애들, 본능에 충실했다. 반대로 순수함만으로 잠자리의 날개를 뜯어내는 섬뜩함도 있다.
“진짜로 가지고 놀아도 돼?”
“그럼, 너희 먼저 가지고 놀아.”
“우와아, 정우 최고!”
“내 정우다!”
강천은 울기 직전이었다. 애들이 모두 좋아하고 있었다. 아무리 눈치가 없어도 여기서 안 주면 안 된다는 걸 본능적으로 느낀다. 애들에게 따를 당하는 수가 있었다. 애들이라고 상황 판단 못할 거란 편견은 버려야 한다. 요즘 애들은 유치원부터 씨가 남다르고, 싹수가 노랗다.
정우는 싹이 노란 애들을 꺾어 주며 유년 시절을 즐기고 있었다. 아름다운 승부와 정당한 대가는 삶의 미학이었다. 다들 이렇게 논다고 본다. 남들 하는 거 하면서 살아볼 심산이다.
“줄 거지?”
“……다른 걸로 하면 안 돼?”
“난 상관없지만, 애들을 봐.”
기대를 담은 애들의 눈빛, 초롱초롱하게 빛나고 있었다. 그걸 보고 귀엽다 하지 않을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간절함이 실려 있어 사랑스럽기까지 하다. 저 간절한 열망이 배반당했을 때의 파급력이란? 상상만으로도 즐겁다.
“그래도.”
“10일만 가지고 놀게.”
강천은 울고 싶었다. 친구들이 가지고 놀면, 어떻게 될지 뻔히 안다. 유치원 놀이공방에 있는 장난감의 상태를 보면 예상이 되고도 남는다. 하루만 지나도 장난감의 팔다리가 사라지고, 10일 안에 나노봇-원은 나노 단위로 쪼개져 사라질 것이다. 망가져 버린 나노봇-원이 떠오른다.
‘사……악해!’
나 선생은 할 말을 잊었다. 이 녀석은 늘 이렇다. 모두와 친해지기 어려운 분위기를 풍기면서도, 인기가 아예 없지도 않다. 지금도 봐라. 모두가 좋아할 만한 제안이었다. 그러나 반대 입장을 따져 보면 그렇지도 않았다. 자신이 나선다 해도 사태를 해결하기에는 늦어버리고 말았다. 흥이 돋아 버린 아이들을 통제하기란 말처럼 간단하지 않았다. 애들은 한 번 삐지면 여러모로 피곤해진다.
나 선생이 본 정우는 착한 아이가 아니라, 만찢마였다.
-만화를 찢고 나온 마왕.
표현이 참 아름다웠다.
정우는 만족했다.
강천이 로봇을 주지 않아도 된다. 로봇 가지고 노는 건 전혀 흥미롭지 않으니까. 단지, 이 순간의 즐거움은 가려운 데를 제대로 긁어주는 느낌을 받는다. 무미건조한 유년 시절에 활력소를 제공해 주었다.
‘이런 재미도 없이 어떻게 살아.’
전생엔 하루에도 수십 명씩 죽이고 살았으니, 좀이 쑤실 만도 했다.
유치원 버스를 타고 집에 도착한 정우는 엄마의 환대를 받았다.
“우리 아들!”
“엄마.”
대답은 간단하게, 행동은 빠르게.
나의 철학이 되었다.
“엄마가 사랑하는 거 알지?”
“정말?”
“물론이지.”
우리 집의 안살림을 책임지시고 있는 김혜정 여사이시다. 나이는 마흔이 확실하나, 한 번도 말해준 적이 없으시다. 항상 본인 나이를 25살이라고 내 귀에 대고 세뇌를 시켜주셨다. 그런다고 나이가 달라지는 것도 아니고.
나의 탄생은 꽤 늦은 시기였다. 아빠와 엄마는 신혼 생활을 10년이나 즐기고 나서야, 나를 낳았으니까. 뒤늦게 나를 낳고 나니 외로움을 타지 않을까 해서 동생을 낳았다. 주변 친구들이 결혼하고 애를 낳은 시기와는 큰 차이가 없다. 요즘 들어 워낙 많은 남녀가 만혼하는 풍속이라.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와중에 젊은 사람이 부족해지고 있다는 뉴스보도가 상기된다.
“유치원은 재밌고?”
“즐거운 시간이었어요.”
“어쩜, 우리 아들은 이렇게 의젓할까?”
“엄마 닮아서?”
“당……연하지.”
엄마의 낯간지러운 칭찬이 좋다. 이런 달달함을 원한다. 5번의 전생 중에 유년 시절의 삶은 피폐함의 연속이었다. 부모보다는 사육사에 가까웠었다. 사육사에게 달달한 것을 달라고 하다, 목이 잘렸던 애들이 부지기수다.
사육사 왈.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해라.
그 말이 굉장히 무서웠다. 기대에 어긋나면 그때부터 지옥이 기다린다. 인간이 상상하기 어려운 참혹한 수련 속에서 감정도 무뎌지고, 생과 사에 대한 관점이 바뀌어 버렸었다.
10살이 되기도 전에 사람을 죽여야 했던 전생과 비교하면, 지금의 간지러움은 큰 은혜이자 호사였다.
“오빠!”
동생이 뒤뚱거리며 달려와 내 품에 안겼다.
3살의 여동생, 하수연.
수연이 태어나기 전까지만 해도 내가 이 집안의 귀염둥이였건만, 그 자리를 양보해야 했다. 토실토실하게 찐 동생의 얼굴을 볼 때마다 귀여워서 미치겠다. 가끔 의도치 않은 행동을 해서 부아를 치밀게 하기도 해도. 그땐 고의적이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수연아, 오빠 씻어야 돼.”
“놀자, 오빠아아!”
안기면서 꼼지락거릴 때마다 분유 냄새가 풍긴다. 어리광을 부리면 답이 없기는 하다. 김 여사도 수연의 어리광을 받아주다가 지치기 일쑤다. 압도적인 귀여움이 어리광을 분쇄시켜주기는 해도
휘익! 휘익!
정우는 수연을 들어서 이리저리 돌려보고, 안아도 보고 가지고 놀았다.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연약한 피부와 골격이 만져졌다.
‘내 동생이면 강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