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안보이기 닫기
모바일페이지 바로가기 > 로그인  |  ID / PW찾기  |  회원가입  |  소셜로그인 
스토리야 로고
자유게시판      연재이야기      감상란      설문조사      이벤트      For Us     
 
작성일 : 16-10-19 07:40
글쓰는 법을 배우고 싶습니다.
  글쓴이 : JTnove
조회 : 2,006  

제가 제대로 쓰고 있는 것일까요?

 

글쓰는 속도가 느려서 독자에게 피드백 받을만한 분량이 있는것도 아니고 그냥 허공에 삽질하는 기분입니다..


  윤주 16-10-19 07:53
 
저도 제가 제대로 쓰고 있는 건지 의문이 듭니다. 다른 분들도 대개 그런 거 같은데, 조회수나 반응이 안나온다고 불안해하는 이유도 결국엔 자신이 잘 가고 있는지 확신하기 힘들어서인 것 같아요. 운전할 때처럼 신호등이 있는 것도 아니고.

 나름대로 오랫동안 이런저런 고민을 해왔지만, 결국 이 문제에 대한 결론은 '글쓰기란 혼자서 감내해야 할 과정'이란 생각이 듭니다. 물론 다른 연재사이트에 올려서 더 많은 반응을 접하고, 온오프라인 집단활동을 통해 피드백을 받는 식으로 올바른 방향에 대해 조언을 듣는 방법도 있어요. 강연이나 글쓰기 교실 등에서 수업을 받으면 글쓰는 법을 배울 수도 있겠죠. 그치만 글쓰는 법이 아니라, 아마도 JTnove님이나 저 같은 사람들이 바랄, 글을 쓰는 노하우란 결국엔 혼자서 시간을 들여서 터득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누가 가르쳐준다고, 심지어 뇌를 그대로 복사해 전송해준대서 익힐 수 있는 게 아니라요.

 종종 자기계발서 인용이나 요약한 내용들을 접하게 됩니다만, 성공하는 사람들은 자기 스스로에게 동기 부여하는 힘이 강한 사람들같더군요. 스스로를 믿고 조금 더 힘내시길 바랍니다. 썩 훌륭하게 글을 써내지 못하는 사람이 드리는 말씀이라 그다지 신뢰감이 들지 않으실진 모르겠지만요 ^^;
     
  JTnove 16-10-19 08:03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최근에 알게된 라디오 작가님에게 제글을 보여드리고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ㅎㅎ 그래서 생각을 해본 결과 판타지 웹소설을 쓰는 현역 작가님에게 지도를 받아보고 싶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내 글이 재미가 있는지, 내 글의 형식이 다듬을 부분은 어디인지 이게 가장 궁금하네요.. 여기 작가님들과 글을 써주는 모임이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말씀하신대로 제가 잘 가고 있는지 확신이 필요하네요...
          
  야광흑나비 16-10-19 09:05
 
라디오 작가라....작가인 것은 같지만 서로 분야가 다른 사람들이라 그 의견이 무조건 옳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일단 글 쓰는 방식 자체가 완전히 다르고요. 작가마다 풀어나가는 방식이 다 다르니 그것으로 왈가왈부 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스토리의 구멍 정도야 누군가의 지적이 필요하겠지만 그 외의 것들에서는 취한 것은 취하되, 버릴 것은 버리자는 마인드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글은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 하고, 많이 경험하고(직간접경험) 시간을 들여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왕도는 없어요. 시간 싸움에서 이기면 자기만의 것을 갖게 되는 거고 그렇지 못하면 자기만의 것을 많이 갖지 못하는 거겠죠.
               
  야광흑나비 16-10-19 09:07
 
그리고 사람과 사물. 배경 등을 가볍게 보지 않는 호기심도 중요합니다. 기사를 많이 본다거나 여러 소문을 많이 접하는 것도 그런 의미에서의 학습이고요. 여행 다니면서 사진을 찍거나 관련 공부를 한다거나 하는 것들도 다 그런 의미의 것들이죠. 사람들과 많이 만나고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 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문법에서 잘 사용 되지 않는 독특한 언어를 구사하는 인물들을 만날 수도 있고요. 사람마다 특징이 다 다르거든요.
                    
  JTnove 16-10-19 09:42
 
감사합니다. 저도 얻을부분은 얻고 버릴 부분은 버리자 라고 생각했는데도 충격이 쉽게 가시지는 않네요. 제 방식이 옳다는 증거가 아직 없기 때문에 더 흔들리게 되는것도 사실이고요.ㅎㅎ 요즘은 대사를 "대사" 이렇게 따로 빼서 쓰지 않는다, 내 글쓰기 방식은 옛날의 글쓰기 방식이다, 대사가 수다 떠는것 같다(의미를 담지않음) 이런식으로 근본이 뒤흔들리는 말을 들어서.. 이게 처음 들었을때는 그냥 그렇구나 싶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충격이 커지는 느낌이네요.ㅎㅎ 전 영화나 일본 애니를 주로 보기 때문에 확실히 문장이나 글 쪽에는 약한것 같습니다. 지금부터 글을 읽는다면 아무래도 일반소설 보다는 인터넷 소설이 낫겠죠? 장르, 매체, 글쓰기 방식에 따라 특색이 다 다를테니까요?
                         
  야광흑나비 16-10-24 00:08
 
글은 사람마다 쓰는 방식이 다 달라요. 꼭 어느 것이 옳다 그르다. 정의 내릴 수 없는 거고요. 글쓰는 방식도 시대에 따라서 다 달라지고 있죠. 전엔 웹 소설의 지문이 적고 대사가 많은 글도 글로 쳐 주지 않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트랜드가 많이 바뀌었죠. 트랜드라는 게 그렇고 글이라는 게 그렇더라고요. 쓰다보면 그 글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드는 그 작가님이 정석이 되는 것이지, 딱 이거다 싶은 글의 정석은 많이 없는 것 같더라고요. 글 쓰면서 느끼시겠지만 중심을 잘 잡으셔야 해요.(이상으로 중심 잘 못 잡는 글쟁이의'그러나 찰떡 같은 말도 약간은 있을지 모르는' 뻘 소리였습니다. 이 말도 거를 건 걸러 들으셔요.)
                         
  JTnove 16-10-24 15:39
 
야광흑나비님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이번에 박현선생님이 올린 글 a4사이즈로 글쓰지 마세요. 글을 보고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던 참이었습니다. 라디오 작가님이 했던 말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말이어서 다행이라고 생각 들면서도 혼란스러운 기분이었거든요. 감사합니다.
  비타 16-10-19 08:20
 
일단은 많이 읽어보셔야 해요. 다독을 하면 어휘력이 풍부해지고 문장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감을 잡을 수 있게 됩니다. 좋아하거나 문장이 닮고 싶은 작가가 있다면 필사를 해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꼭 손으로 쓰는 게 아니라 타이핑을 해도 괜찮습니다. 그 마저 사정이 여의치 않다면 한 작품을 계속 읽어보세요.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 번역작 보다는 가급적 한국작품을 추천드리고 싶어요. 번역투를 익히게 되면 고치기가 꽤 어렵거든요. 묘사를 익히고 싶으면 어떤 순간을 포착해서 있는 그대로 표현해보는 연습을 하는 게 좋아요. 글쓰는 속도를 높이는 데에는 시간을 정해두고 맞춰서 쓰는 연습을 해보세요. 예를 들어 1시간 안에 1,000자 분량의 완성된 글쓰기 같은 것이요.
  요약을 하자면 '많이 읽고 많이 써라'가 되겠네요. 참 상투적이기도 하고 막막한 방법이기도 하지만, 하다보면 정말로 실력이 느는 걸 느끼실 거예요. 아무쪼록 제가 쓴 댓글이 도움이 되길 바라요!
     
  JTnove 16-10-19 09:50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부분중에서 글쓰기 속도를 높이는게 제일 첫번째로 도움이 되겠다 싶네요. 지금 가장 시급한게 글쓰는 속도를 높이는 것이거든요. 필사 부분은 많은 분이 강조 하셔서 한번정도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알천 16-10-19 21:56
 
흠.. 안녕하세요~ 작품 보고 왔습니다.^^
일단 제 생각에 글쓰기 관련 조언이 세상에서 제일 어렵습니다;;;
문창과 교수님들도 저한테 조언하실 때 되게 조심스럽게 하신답니다. 왜냐면.... 정답이 없거든요.
회사에 속해서 글을 쓸 때야, 회사에 이익이 많이 가는 글이 무조건 정답이지만, 소설은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뭐, 저도 조언할 처지는 아니고, 이미 다 아시는 거겠지만, 몇 마디 하자면,

일단 처음 쓸 때 바로 완성하려고 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처음에는 '읽히긴 읽히네?' 정도로만 쓰고, 이것을 계속 퇴고해서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해야, 글 자체의 완성도도 늘고, 글을 쓰면서 자연스레 연습도 되니까요.
한 100번쯤 읽어 보면, 처음 작성할 때 어색했던 부분이 보이지 않겠습니까?ㅎㅎ  뭐, 자기 글은 아무리 봐도 잘 안 보일 때가 많긴 합니다. 그러나 조언해 줄 사람이 항상 있는 것도 아니고, 그 사람이 정답만 말해주는 것도 아니니.. 노력으로 극복하는 수밖에 없죠.

그리고 사전을 끊임없이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전 어렸을 때 사전을 다 외우려고 덤벼든 적도 있답니다 (물론 대실패^^;) 
단어를 쓸 때, 사전에서 미리 검색해보고 관련 예문을 참고해, 최대한 표현을 다듬는 거죠.
사전에 나오는 예문이 의외로 풍부하답니다^^

또 대사는 시나리오를 많이 보면 늘고, 지문은 희곡 대본을 많이 읽으면 자연스레 실력이 오릅니다.
이건 제가 대학 다닐 때 교수님께서 해 주신 조언이랍니다. 소설을 죽어라 읽는 것도 좋긴 하겠지만, 아무래도 시간이 오래 걸리니까요. 저는 편혜영 작가를 매우매우 좋아하는데, 머리가 둔해서인지 백날 읽어봐도 배우는 것이 얼마 없더군요. ㅎㅎ;

이 정도네요. 그럼 건필하시고~ 좋은 밤 되세요~
     
  JTnove 16-10-19 23:47
 
정말 감사합니다.^^* 여긴 정말 친절하신 분들이 많군요. 해주신 조언을 참고해서 포기하지 않고 써나가야 겠습니다. 조언을 해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푸른냄비 16-10-20 15:16
 
저도 글에 정답은 없다고 들었습니다. 모르니까 알게 되는 거고 그만큼 표현이 자유로운 거라고요...저도 제가 제대로 쓰는 지 모를 때가 많은데 다른 사람이 말하길 다른 소설 같은 거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하고 또 필사 같은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고요 필사의 경우는 타자가 아니라 손으로 직접 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들었습니다...물론 전 그렇게는 하지 않지만...뭐라 그래도 작가가 제일 쓰면서 즐겁게 느낄 수 있는 게 있다면 독자들도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JTnove 16-10-20 23:09
 
이번에 듣는수업에서도 필사 이야기를 하시더라구요. 여러 강사님이 같은 이야기를 하시니 중요하고 효과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필사는 한번해봐야 겠다고 생각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자유게시판
Total 1,73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 카카오 파트너 포털 작가 계정 생성 및 부여 안내 공지 ] 스토리야 12-02 4641
공지 ★공모전 참가작 외 스토리야 원고 투고 안내 - (체크리스트 … (4) 스토리야 08-08 15437
공지 앱처럼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바로가기 (5) 스토리야 11-16 12704
공지 ♣ 회원님들의 거주지역 및 주 활동지역 분포도를 알아보고… (5) 스토리야 10-05 15965
공지 << 스토리야 카테고리 설명과 기능 활용 >> 스토리야 04-21 15520
공지 자유게시판을 사용함에 있어어 유의해야 할 점 스토리야 03-24 15546
336 기분 좋은 소식~ 수상작 숫자가 늘어납니다.^^* (20) 스토리야 11-11 2093
335 생존신고합니다 (4) 아리나 11-10 1023
334 오랜만에 들어왔더니 게시판이 활성화된 느낌이예요 (3) 조상우 11-10 966
333 묘한 시대가 왔네요. (7) 윤주 11-10 1199
332 나는 (1) 아스커 11-10 907
331 여러가지 일들이 생겨서 (3) 의랑 11-10 902
330 소문 대로 (5) 아스커 11-09 1042
329 스페셜연재 카테고리 생성 - D ? (공모전 예심통과작 게시 등) (8) 스토리야 11-09 1413
328 악성 댓글~~ (8) 로긴아이 11-08 1241
327 거짓 댓글~ (9) 스토리야 11-08 1189
326 으어어 정말 쓰는게 쉽지 않네요. (8) 무음시계 11-07 1085
325 미흡한 대로 완성을 향하여~ (7) 화이트드림 11-05 1105
324 아...그래도 10만자 이상은 채웠어야 했는데 아쉽네요. (9) 야광흑나비 11-04 1237
323 정말 좋은 글들이 많이 나왔네요.^^ (4) 바로크 11-03 1519
322 Flamboyant Boy (2) 아스커 11-02 1270
321 어쨌든 600매. (1) 아스커 11-02 1339
320 날씨가 추워졌네요 (4) happydream 11-02 1118
319 여기 작품삭제는 어떻게 하나요? (5) 거리의스누P 11-01 1264
318 [고양] 2016 아이디어 고양 스토리랩 스토리 공모전 안내 고양스토리랩 11-01 1154
317 드뎌 공모전 마감합니다! DB 백업 및 공모전 신청 중지.(약간 … (11) 스토리야 11-01 1728
316 공모전 참가하신 분들 너무너무 고생하셨습니다... (9) 조상우 10-31 1319
315 3달간 행복했습니다. 다들 애쓰셨어요. (7) 임태운 10-31 1273
314 글을 쓰면서... (6) 까플 10-31 1206
313 20화 채웠네요. (4) 아리나 10-31 1075
312 으아. 또 월요일! (4) 조상우 10-31 1041
311 소모임 For Us 오픈합니다^^ happydream 10-30 1093
310 정말 공모전 끝이 얼마 안 남았네요... (6) 푸른냄비 10-30 1143
309 D - 3 ! (5) 장담 10-29 1360
308 [참고] 아래에 있던 질문 게시물을 [질문과 답변]으로 이동~ 스토리야 10-28 1219
307 처음 인사드립니다. (12) 수현이 10-27 1411
306 소설에서의 재미, 개연성, 지식의 상반 관계 (어떤 면에서 굉… (17) zoeil 10-26 1874
305 인터넷 검색 (4) 까플 10-25 1697
304 스토리야님께 이메일로 문의요? (1) 에비또 10-25 1157
303 원래 오늘 글은 쉬려고 했는데... (4) 푸른냄비 10-24 1195
302 금방 연재물을 올릴 수 있을 줄 알았는데... (14) 야광흑나비 10-24 1353
301 어려운 책 정리 (5) 아가씨 10-23 1386
300 떡밥은 참 좋은 것 같습니다. (10) 푸른냄비 10-22 1705
299 <.................> 글을 쓰면 상자 안쪽에 글이 누락됩니다 (3) 촌뜨기괭이 10-21 1351
298 제가 연재한 소설 '남사고 _ 조선 최고의 예언가'에 … (24) 솔사랑 10-21 2103
297 흰긴수염고래 인덕 10-21 2298
296 작품연재, 들여쓰기~ 자동으로 됩니다. (1) 스토리야 10-21 1350
295 안녕하세요^^ (6) 박서리 10-21 1254
294 10일 정도 남은 거 같아요, 공모전 (12) 후르츠링 10-20 1854
293 [대구 스토리랩] 스토리 공모전 안내(~10/28) 대구디지털산… 10-20 1487
292 아, 토나올 거 같네요. (6) 아리나 10-19 1521
291 글쓰는 법을 배우고 싶습니다. (13) JTnove 10-19 2007
290 이제 여기 온 지도 꽤 시간이 지났네요. (16) 푸른냄비 10-17 1583
289 제목과 필명이 안티? (5) happydream 10-17 1675
288 으-악~ 충치를 뽑았어요 (9) 화이트드림 10-16 1593
287 ㅠㅜㅠ (2) 리시 10-16 150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회원로그인 소셜로그인
자동 ID/PW찾기 | 회원가입
스토리야 추천작
운명찬탈자, 미..
범미르
나쁜 놈과 결혼..
초재85
널 길들여 줄게
엘리신
연애도 인턴십..
꽃피는사월단
더더더! 찐하게..
케일리
그 밤보다 더한..
케일리
공작님, 이 독..
나은
오빠 절친이 황..
이들HG
악녀의 끝은 재..
돗토리쥬이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신고/의견    
※ 스토리야에 등록된 모든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본사이트는 구글 크롬 / 익스플로러 10이상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주)스토리야 | 대표이사: 성인규 | 사업자번호: 304-87-00261 | 대표전화 : 02-2615-0406 | FAX : 02-2615-0066
주소 : 서울 구로구 부일로 1길 26-13 (온수동) 2F | 배너광고 및 기타 문의 k-storyya@naver.com
Copyright 2016. (사)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 All Right Reserved.

위로


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