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안보이기 닫기
모바일페이지 바로가기 > 로그인  |  ID / PW찾기  |  회원가입  |  소셜로그인 
스토리야 로고
자유게시판      연재이야기      감상란      설문조사      이벤트      For Us     
 
작성일 : 17-11-22 23:26
하루 한 권, 즐거운 책 소개 (4) 무기와 전술(강건작, 율 커뮤니케이션)
  글쓴이 : 체셔냐옹
조회 : 2,015  
   http://storyya.com/bbs/board.php?bo_table=novel_publish&pb_code=4311 [555]

안녕하세요 체셔냐옹 >ㅅ< 입니다! 추위가 점점 심해지는 가운데 어제는 피로로 혼절해서 그만 하루를 쉬어버렸습니다. 이야, 이거 원고하면서 책 소개까지 하려니까 아주 조금 힘드네요. 그래도 책 소개는 계속합니다! 많은 소설가와 소설가 지망생들이 보다 좋은 소설을 쓰게 되는 그날까지!


오늘 소개할 책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무기'와 '전술'입니다. 퀄리티는 늘 그렇듯 체셔냐옹 퀄리티 >ㅅ< !!

판타지 소설을 보면 로맨스 판타지로 분류된 걸 제외하면 열의 아홉은 액션성이 강한 소설입니다. 액션이 가장 오락성이 높기 때문인지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인지는 모르겠는데 일단 주인공이 싸워요. 대체로 싸우죠. 아마 이건 반지의 제왕과 드래곤 퀘스트의 영향이 아닐까 싶습니다. 

선과 악의 투쟁이랄까, 어쨌든 일단 군대와 군대가 싸우고 주인공과 나쁜 놈이 싸우고 칼로 싸우고 도끼로 싸우고 활로 싸우고 총으로 싸우고 싸워야 합니다! 안 싸우는 판타지 소설은 찾기가 어려워요. 무협으로 가면 안 싸우면 애초에 무협이 성립하지 않으니 제쳐 두지요.

아무튼 이런 액션성이 강한 소설들이 대부분이고 그 중에서도 주인공에게만 포커스를 맞추지 않고 대규모 전쟁을 묘사하는 소설도 많습니다. 비율로 따지면 그래도 10%는 넘어가지 않을까 싶은데 다들 J.R.R톨킨이 되고 싶고 J.R.마틴이 되고 싶은 건 알겠지만, 그럴 듯한 대규모 전쟁 연출과 묘사가 가능한 작가는 많지 않아요. 애초에 액션은! 글로! 묘사하기! 힘들어요!

우리가 공부가 필요한 이유가 바로 이겁니다. 안 그래도 텍스트로 표현하기 어려운 걸 표현하려고 하는데 그 분야에 아는 게 없으면 어떻게 되는지는 다들 아시죠. "포위섬멸진" 나오는 거예요. 모르시는 분은 구글에 "포위섬멸진"을 검색해 보세요. 어이가 없는 수준을 넘어서 그냥 웃게 되니까.

판타지니까~ 현실과는 다르겠지~ 라는 생각은 안이합니다! 정말 마법사가 그렇게 강해서 파이어볼 한 방에 일 만 명씩 죽을 거면 군주들은 왜 멍청하게 군대를 키웁니까?(feat J.R. 마틴) 파워 밸런스를 생각해서 전쟁물을 쓴다면 마법의 한계가 명확하거나 역할이 제한적이거나, 마법이 강하면 그에 반대급부를 군인들에게 줘야 합니다. 앞뒤가 맞아야 하니까요.

각설하고, 이 책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술 혁신이 무기 개발에 준 영향과 그 무기 개발에 따른 전술의 변화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예를 몇 개 들어 보지요.

등자가 발명되기 전까지 말을 이용한 기동전이란 '전차'를 이용한 거였습니다. 벤허를 보면 나오는 그거에요. 고대 이집트와 히타이트가 이 전차 전술을 주로 썼지요. 등자가 없던 시기에 말 등에 타서 싸운다는 건 태어나고 자라는 걸 말과 함께 한 정말 기마 민족이 아니고서야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기병이란 건 그만큼 귀하고 키하기 힘든 존재였지요. 하지만 등자가 나타나면서 시대가 급변합니다. 전차에 비해 월등한 기동력과 화력을 지닌 기병이 보다 양성하기 쉬워졌고 그 결과 전차는 도태됩니다.

뭐, 이런 식으로. 기술 개발과 병과, 전술의 변화를 설명합니다. 방금 전 거는 제가 1장을 멋대로 요약한 거예요. 실제 책은 훨씬 상세하게 설명해 줍니다.

그럼 이 책이 왜 중요한가? 이 책은 다른 많은 전술 관련 책과 달리 "고중세에 있었던 실제 전쟁을 바탕으로 전술을 설명"하지만 그것만으로 끝나지 않는 겁니다. "왜"라는 걸 넣은 거지요.

 어떤 전술을 썼을 때 우리가 그걸 소설에 도입하려면 완전히 베끼든가 스스로 전술가가 되어서 새로운 전장, 새로운 군대, 새로운 무기를 도입해서 조율을 해줘야 합니다. 당연히 후자가 압도적으로 어렵습니다. 첫째로 우리는 전술가가 아니고, 둘째로 우리는 그 전술이 어째서 그렇게 되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형과 날씨, 무장과 훈련도는 전술 그 자체에 막대한 영향을 줍니다. 고대 로마 레기온이 펼치던 귀갑진이 중세로 가면서 볼 수 없게 된 건 표준적인 무장과 훈련도가 바뀌었기 때문이 듯이, 어떤 무기가 어떻게 바뀌면서 어떤 전술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다는 건 전쟁의 묘사에 굉장한 메리트입니다. 

칼과 방패가 더 큰 칼과 갑옷으로, 활과 투석이 장궁과 쇠뇌로, 방진이 화약을 만나며 산개로. 모든 변화에는 이유가 있고 그 다양한 이유 중 가장 중요한 몇 가지를 설명해주는 책인 겁니다. 그리고 그걸 알게 되면 변형 적용이 비교적 쉬워집니다. 화포 대신 마법을 넣어볼까? 기병 대신 몬스터를 넣어 볼까? 만약 하늘을 나는 몬스터가 있다면 전장에 어떤 변화를 줄 수 있을까?

하늘을 나는 용이 불을 뿜고 12척 오거가 몽둥이를 휘두르는 세계에서 나무 방패를 든 군대가 밀집 방진을 이루고 다닥다닥 붙어서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가는 건, 말이 안 되겠지요? 

배우고 상상하고 적용하는 건 여러분의 몫입니다. 모두들 이 책으로 하여금 보다 실감나는 전쟁 묘사가 가능하게 되기를 바랍니다. 건필기원!



ps. 공모전 중인 제 소설도 한 번 들러주신다면 정말 좋겠습니다.

  과하객 17-11-22 23:44
 
맞춤한 듯 필요한 자료로군요. 책 구해서 꼭 보겠습니다. 오늘도 고맙습니다.
  설매 17-11-23 00:03
 
저도 마침 조선시대 전쟁을 묘사중인데, 매우 유용할 듯합니다^^ㅎㅎ
칼과 화승총 스나이더 소총과 기관총도 등장하지요^^ 대포는 기본! 공부 많이 해야됩니다~ㅋㅋ
  서희seohee 17-11-23 00:25
 
유용한 정보네요~ 인터넷 상에서 조각조각 찾아서 봤는데, 그냥 이 책 한 권 비치해 놔야겠습니다!
고생하셨고, 고맙습니다^^
 
   
 

 자유게시판
Total 1,7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 카카오 파트너 포털 작가 계정 생성 및 부여 안내 공지 ] 스토리야 12-02 5626
공지 ★공모전 참가작 외 스토리야 원고 투고 안내 - (체크리스트 … (4) 스토리야 08-08 16401
공지 앱처럼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바로가기 (5) 스토리야 11-16 13629
공지 ♣ 회원님들의 거주지역 및 주 활동지역 분포도를 알아보고… (5) 스토리야 10-05 16904
공지 << 스토리야 카테고리 설명과 기능 활용 >> 스토리야 04-21 16385
공지 자유게시판을 사용함에 있어어 유의해야 할 점 스토리야 03-24 16296
988 질병 치료사 공모전 도전합니다. (2) 삼태아범 11-16 3938
987 앱처럼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바로가기 (5) 스토리야 11-16 13629
986 공모전 도전! 많이 예뻐해주세요~ MATSUBA 11-16 3784
985 작품을 올렸습니다. 많이 읽어주세요! 거미손 11-15 2541
984 한국콘텐츠진흥원 컬처링 - 100년전 왕의 수랏상, 명월관을 … (1) 장담 11-15 2803
983 스토리야는 앱은 안만드시는지 궁금합니다. (4) jubila 11-14 2273
982 화이팅. (1) lol9999 11-14 2197
981 소설 홍. 보. 합니다. WixhFive 11-14 2221
980 ◆ 광운대학교 만화콘텐츠제작(스토리) 수강생 모집! - 기간 … (3) 스토리야 11-13 2754
979 저와 공동창작하실 분 찾습니다^^ (6) 하디레 11-12 2162
978 공모전까지 같이 글 쓸 동지 찾습니다(주의 : 공동창작 아님) (14) 최고운 11-12 2183
977 <너를 길들이는 방법>한번씩 들러서 읽어주시면 정말 감… (1) 설쏘 11-12 2300
976 작품 수정 (2) 하디레 11-12 1901
975 '설화'와 '신화'에 열광하는 '나' 비정… 쉬렉 11-11 1815
974 <별의 아이 - 초승달을 보는 소녀> 한번씩 들러서 읽어주… (1) Hable 11-11 1750
973 드라마와 영화제작을 위한 소설이 있을까요??? (8) 설매 11-10 1985
972 조회수 0나와도 좋으니까 (3) 초쿄레 11-10 1997
971 지금까지 쓴게 겨우 이거냐? 이거 실화냐..??(자책 중..) (2) 착한마녀 11-10 1891
970 무협소설 추천해주시기 바랍니다. 암굴왕 11-09 2112
969 설정덕후의 한탄 (2) 보장대밥수 11-09 1695
968 [날개 잃은 천사를 위한 연가] 연재 시작했습니다! 퍼플레인 11-09 1487
967 감히 감상문 부탁드립니다. 추워요추워 11-09 1606
966 문체가 퇴화 (2) 은월 11-08 1686
965 제1회 창작소설 공모대전 수상작들이 카카오페이지 연재를 … (3) 스토리야 11-08 1947
964 [플로럴 랩소디] 연재 시작 했습니다. 포트리 11-07 1516
963 멘센블리 - 한 인육공장이야기 양예지 11-07 1465
962 시간 대비 작업량이 너무 짜다 짜 퉤퉤퉤 (2) 보장대밥수 11-07 1701
961 ★ 2017년 10월분 신인작가 창작지원금! (5) 스토리야 11-06 2592
960 ◆ 원활한 공모전을 위해 임시 점검을 합니다~! ◆ 스토리야 11-06 1649
959 <일벌들의 천국> 함 읽어봐주시면 좋겠어요^^ Idea 11-06 1300
958 저작권 위반 신고. 조언이 필요합니다. (1) 체셔냐옹 11-06 1425
957 조회수 1은 본인 거일까요? (3) 수리x2 11-06 1423
956 공모전 작품 소감 (2) 보장대밥수 11-06 1524
955 심장이 쫄깃쫄깃! 마음의 근육이 두터워지다. 설매 11-05 1269
954 공모전 원고는 넉넉히 있는데 반응이 적으니 의욕이 떨어지… 모순나선 11-05 1391
953 판타지 웹소설 공모작 추천 (1) JHAO 11-04 1524
952 작품 여러개 연재중이긴 한데 (3) 발라티안 11-03 1525
951 어떻게 글을 써야 댓글이 달릴까요? (4) 글먹 11-03 1448
950 으하하!! (10) 까만쿠키v 11-03 1375
949 웹작가들 연재속도 (12) 류안 11-02 2225
948 스토리야의 페이스북 페이지와 트위터가 개설되었습니다~!! 스토리야 11-02 1412
947 SF 소설 좋아하시는 분들! Idea 11-01 1383
946 제1회 창작소설 공모대전 수상작들이 카카오페이지 연재를 … (8) 스토리야 11-01 1920
945 공동창작 해 보신 분? (3) 다르니 11-01 1475
944 팩트폭격기 필요하신분 (10) 송리 10-31 1827
943 시간나는 틈틈이 글쓰기 작업 가능 하신분 아이다호 10-31 1318
942 약간 서운해서 드리고 싶은 말이에요 (1) 은월 10-31 1556
941 [공모전 질문] 공모전 참가할 때 BL 소설은 어느 카테고리에 … (4) 에란디스 10-31 1540
940 공모전이 시작되니... (2) 서린 10-30 1506
939 못나디 못난 작가 왔습니다. (1) 미네나인 10-30 1319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회원로그인 소셜로그인
자동 ID/PW찾기 | 회원가입
스토리야 추천작
운명찬탈자, 미..
범미르
나쁜 놈과 결혼..
초재85
널 길들여 줄게
엘리신
연애도 인턴십..
꽃피는사월단
더더더! 찐하게..
케일리
그 밤보다 더한..
케일리
공작님, 이 독..
나은
오빠 절친이 황..
이들HG
악녀의 끝은 재..
돗토리쥬이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신고/의견    
※ 스토리야에 등록된 모든 작품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 본사이트는 구글 크롬 / 익스플로러 10이상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주)스토리야 | 대표이사: 성인규 | 사업자번호: 304-87-00261 | 대표전화 : 02-2615-0406 | FAX : 02-2615-0066
주소 : 서울 구로구 부일로 1길 26-13 (온수동) 2F | 배너광고 및 기타 문의 k-storyya@naver.com
Copyright 2016. (사)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 All Right Reserved.

위로


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