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악몽
[과학실에 있던 여자아이는 사망했습니다.]
민은 눈을 번쩍 떴다. 침대가 흥건히 젖어 있었다.
“일어나셨어요?”
밖에서 민의 방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렸다. 문을 잠그는 습관. 꿈같은 8살 그 무렵 절에서 지내던 습관 때문이었다. 문을 직접 잠근 적은 없었다. 그저 언제나 밤이면 방문이 잠겨 있었고, 아침이면 애쓰지 않아도 열려있었다. 지금은 문을 잠그고 자는 것이 편하다. 잠자는 동안은 편하게 자고 싶었다. 늘 누군가 지켜보는 느낌이 있었다. 그 느낌이 늘 자신을 불안하게 했다.
“내려갈게요.”
민은 대답 후 세안을 마쳤다. 가끔 오는 본가이지만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어느 누구도 민을 불편하게 하는 사람은 없었다. 이제는 많은 것이 무뎌졌지만 어머니에게만은 신경이 많이 쓰였다. 자신의 등 뒤에서 늘 울고 있는 어머니의 잔상. 어쩌겠는가. 누구를 탓하겠는가. 수없이 탓하고 수없이 원망해도 변하는 건 아무것도 없었다. 그것은 오로지 자신만이 견뎌낼 수 있는 혼자만의 몫일뿐이었다. 30대가 되고 보니 그런 것은 괜찮았다. 답답한 것은 가끔씩 괴로움으로 다가오는 악몽이었다.
“오늘 경력사원 면접이 있다. 회사에 나올 시간이 되면 잠깐 들르거라.”
“네, 어제 김 비서님께 말씀 들었습니다.”
민의 드라마틱한 인생에 단 하나 드라마틱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바로 부모님이었다. 사실, 이런 대화가 오갈 때 드라마라면 “오늘은 일이 있습니다.” “오늘은 참석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한 번 나올법하고, 아버지는 “오라면 오거라. 그렇지 않으면 차키와 카드를 다 내놓고 나가거라.” 하실 법 한데 너무나 평온하다. 부모님은 늘 민이 먼저였다. 민이 싫다는 것은 절대 하라는 법이 없었고, 하고 싶은 것에 대해서는 전폭적인 지지를 아끼지 않았다. 덕분에 민은 외롭게 살았던 9년이라는 시간을 보상이라도 받듯 20년 이상 하고 싶은 것을 마음껏 했다. 다만, 보이는 것을 보이지 않는 것처럼,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하지 않고 참으며 살아왔다. 그렇게만 하면 모든 생활이 일반인과 다름없던 25년이었다.
“아침에 잠깐 병원 들렀다가 바로 회사로 가겠습니다.”
“그래, 회사서 보자.”
아버지는 현관을 나가면서 민의 어깨를 한 번 쓸어주었다. 지난 25년간 그랬다. 아버지 눈동자에는 아름다운 모습이 보인다. 눈매에도 미소에도 진심이 묻어나온다. 사업하는 사람의 눈과 입이 아니다. 아버지 얼굴에는 학자의 얼굴이 보인다. 아버지는 자신이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면서 평생을 보냈기 때문에 아들에게만큼은 그렇게 하고 싶지는 않은 것이다. 아버지는 한 번도 이런 말씀을 해주신 적 없다. 다만, 아버지 눈이 그렇게 말하고 있었다.
세상의 부모님이 자식을 위해 해줄 수 있는 게 어디까지 일까. 모든 부모가 자신의 위치에서 자신이 할 만큼 최선을 다하고 싶은 게 아닐까. 그러면서도 부모는 자신의 무능력함을 미안해한다. 미안할 것 없다. 자식들은 밑바탕 위에 자신의 씨앗을 뿌리고, 건강한 줄기를 만들고 무럭무럭 자라면 그 뿐이다. 민은 부모님의 미안한 눈빛을 보며 느낀다. 부모님은 자신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신이 아니라고. 아버지가 25년 전의 일 때문에 괴로워하는 민을 볼 때 가장 힘들어하신다는 것을 안다. 아버지가 그걸로 힘들어 하는 자신을 제일 싫어하신다는 것도.
* * *
아침에 환자 몇 명을 보고 고개를 젖혔다. 맑은 하늘이 햇살 속에 비춰진다. 그 아이는 정말 죽었을까. 어딘가에 살아있지 않을까. 모두 죽었다고 했지만 민은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꿈이 마치 어딘가에 그 아이가 살아있다고 말해주는 것만 같았다. 그 아이로 인해 배운 것이 있다. 누군가의 눈에 보이는 잔상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그 어떤 것도 책임질 수 없다는 것. 그때부터 잔상만으로 누군가의 인생에 끼어드는 일은 없었다. 보이는 것을 보이지 않는 것처럼 쉽게 지나칠 수 있었던 것도 어쩌면 그 사건 이후부터인지 모른다. 평생 온전한 정신으로 살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보니 오히려 마음은 편했다. 민은 가운을 벗고 정장으로 바꿔 입었다. 아버지 회사 면접이 오후 2시부터다.
면접 장소는 22층. 아버지는 회사를 위해 인생을 바쳤다. 원하지 않던 유학생활, 원하지 않은 과를 졸업하고 바로 회사에 입사했다. 아버지가 신입사원, 대리, 과장, 부장이 될 때까지 회사 내에서 아버지가 회장 아들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부장에서 사장으로 초고속 승진을 하고 나서야 아버지가 회장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사람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민이 면접장에 들어서자 앉아 있던 간부들이 자리에서 일어나 민에게 고개를 숙였다. 민의 아버지는 어린 민이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회사 사람들부터 소개했다. 그렇게 빠를 필요가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아버지는 서두르셨다. 어렸을 때부터 만나온 전무, 상무, 이사 아저씨가 보였다.
면접관 자리 중앙에 민의 자리가 배치됐지만 민은 양해를 구하고 좌측 끝으로 가서 앉았다. 굳이 정면에 앉지 않아도 면접자가 이 회사에 적합한 지, 안 한지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 번에 네 사람씩 들어왔다. 화려한 경력을 갖고 있는 사람들. 우리나라에는 다양하고 화려한 스펙을 갖은 사람은 수없이 많다. 그 많은 사람 중에 회사에 적합한 인재를 고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민은 면접관으로서 사람을 볼 때 3가지를 봤다. 첫째, 회사에 보탬이 되는 사람인지 둘째, 회사와 궁합이 잘 맞는지. 셋째, 기존에 있는 사람들과 잘 섞일 수 있는지. 어떤 때는 면접 보러 오는 사람이 우리 회사가 아닌 경우 더 성공하는 잔상을 본 적이 있다. 그럴 때는 과감히 채용하지 않는다. 그 사람의 운명은 여기가 아닌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저 사람이 회사와 적합하지 않지만, 눈에서 진심을 읽을 때가 있다. 회사가 저 사람으로 인해 손해를 볼 경우가 생기겠지만 저 사람은 손해 그 이상 회사를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는 과감히 채용했다. 세상이 그렇다. 주어진 운명으로만 살기에는 너무 많은 변수가 있기 마련이다. 세 개의 팀이 지나갔지만 회사와 아주 적합한 사람은 만나기 힘들었다. 다음 그룹이 들어오는 동안 민은 창가 쪽으로 몸을 돌렸다. 햇살이 참 좋다. 절에서 바다를 바라보던 때가 가끔 그립다. 오로지 바람 소리, 파도 소리만 듣던 그 세상이 어쩌면 이곳보다 더 나은 세상이 아니었을까.
“마지막 그룹, 준비 됐습니다.”
옆 자리에 앉은 장 이사가 민을 불렀다. 민은 돌아앉았다.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남자 둘, 여자 둘. 우측 끝자리에 앉은 남자부터 자기소개를 시작한다. 한국대학교 학사 졸업, 한국대학교 석사 졸업. 미국 UCLA에서 MBA과정. 다양한 봉사활동. 많은 노력으로 착실하게 정석대로 살아온 사람이다. 새로운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이러한 정석인생이 필요하지 않을 때가 있다. 공부는 좀 못해도 좋다. 특이한 이력과 재밌는 삶을 산 사람들이 미국시장에서 좀 더 빛을 발휘하게 된다. 아웃.
두 번째 여성 지원자는 영국에서 학사, 석사과정을 밟았다. 맑은 눈을 가지고 있다. 회사와 적합하다. 장미희. 미국 시장에서 한국 영화를 소개하고 회사 브랜드를 높이는 일에는 필요한 인재다. 합격.
세 번째 남자 지원자는 부유한 집안에서 자랐고, 한국 중상위권 대학을 나왔지만 대학교 졸업과 동시에 부모님을 잃게 된 후 혼자 아프리카를 다니며 봉사활동을 2년간 했다. 이 사람은 좋은 가정을 꾸릴 것이고 회사와도 잘 맞는다. 이민준. 합격. 마지막 여자 차례지만, 한 조에서 두 명이상이 합격되는 일은 없다. 민은 이미 마음에 드는 두 사람을 골랐기에 마지막 여자에게는 관심이 없어 다시 창 쪽으로 고개를 돌렸다.
“저는 강원도 강릉에서 아주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강릉에서 자라 자연과 늘 함께였습니다. 짧은 강릉 생활을 뒤로하고.”
민은 강원도 강릉이라는 말을 듣자, 창 쪽으로 돌렸던 의자를 다시 면접장 안쪽으로 돌렸다. 그리고 그 여자를 가만히 바라보았다. 눈이 보이지 않는다. 여자가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설명하고 있어 민은 여자의 뒷모습 밖에 볼 수가 없었다. 눈이 보고 싶다. 눈을 봐야 한다.
“감사합니다.”
포트폴리오 설명이 끝나자, 돌아서는 그 여자의 눈동자를 보았다. 화재현장, 불에 타는 아이의 모습. 민의 손이 떨렸다. 주먹을 꽉 쥐고 다시 한 번 그 여자를 바라보았다. 그 여자의 시선이 좌측 끝에 앉은 민에게 닿았다. 불에 타고 있는 승아의 모습, 악몽과 똑같은 잔상. 얼굴 생김새가 승아와 너무 다른 그녀에게서 그 아이와 똑같은 잔상을 읽었다. 그 아이다!!!
민은 면접을 마치고 나가는 그 여자를 잡았다. 같기엔 너무 다르다. 8세 이후 여자의 모습이 수만 가지로 바뀐다 해도 이렇게 다를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럼 잔상은? 안과 의사를 하면서 수많은 사람을 만났지만 잔상이 똑같은 경우는 단 한 번도 없었다.
“잠깐 얘기 좀 하시죠.”
면접장을 나서는 그 여자의 손목을 잡아챘다.
“네?”
민은 여자를 엘리베이터 안으로 끌어당겼다. 면접장 안은 어수선했지만 엘리베이터 안은 고요했다. 민은 여자를 자신과 마주 보게 세웠다. 그녀의 눈을 가만히 바라보았다. 그 날 무책임하게 한 마디 던져 놓고, 일이 눈앞에서 벌어지는데 아무 것도 할 수 없어 두려움에 도망치듯 서울로 올라왔다. 그것이 마음에 피멍처럼 남았다. 승아를 단 한 번이라도 만날 수 있다면. 그 아이가 혹시 어딘가에서 아무렇지 않게 나타나지 않을까, 바래보고 또 바라기도 했다.
“살아있었어? 괜찮은 거야?!”
“저… 저는요….”
“승아야, 너무 오래 기다렸다.”
승아? 이 사람은 자신에게서 승아를 찾는다. 여자는 애잔하게 자신을 바라보는 남자를 바라보았다. 진심이다. 이 남자의 눈빛은 진심이다. 상대방이 진심을 말하면 온몸에 전율이 날 정도로 그 진심이 전달되기 마련이다.
“죄송하지만, 사람을 잘못 본 것 같습니다.”
“사람을 잘못 봐? 내가?! 내가 어떻게 널 잘못 볼 수 있어!”
1층을 알리는 벨과 동시에 문이 열렸다. 엘리베이터 밖으로 나가려는 그녀의 손을 다시 낚아챘다.
“이승아! 너 때문에 내가 어떻게…. 어떻게 살았는데! 이러고 가? 이러고 가면 난 어떡하라고!!”
여자는 민에게 손이 잡혀 옴짝달싹 하지 못했다. 이 사람을 이토록 힘들게 한 사람, 이 사람을 이토록 괴롭게 한 사람, 알고 있다. 그 사람에 대해. 근데 왜 이제야? 왜? 무엇 때문에? 이 사람, 누군가를 죽음의 문턱까지 가게한 사람이다. 민아는 소리치며 자신을 닦달하는 남자의 울부짖음을 지켜보기만 있었다. 경비원 두 명과 보디가드 두 명이 민의 곁으로 다가왔다.
“강 닥터님, 보는 눈이 많습니다.”
민은 다시 한 번 그녀의 눈에서 잔상을 읽었다. 같다. 같은 잔상이다. 그녀는 멀어져갔다. 정문을 지나가던 아버지는 민을 사장실로 불렀다.
“무슨 일이니?”
민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 어른처럼 행동하기 위해 노력했다. 8살 그때를 떠올리며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는 어린아이 같다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늘 감정을 억누르며 살았다. 오늘은 그 감정을 도무지 주체할 수 없는 날이다.